이태원 압사 사고를 계기로 심폐소생술(cardiopulmonary resuscitation·이하 CPR) 등 안전교육을 강화해야 한다는 의견이 나오고 있다. 응급처치법에 대한 교육을 개선하고 학교 현장에서부터 실습 위주의 안전교육을 실시해야 한다는 것이다.

1일 오전 대구 달서구 성지초등학교 2학년 학생들이 교내 안전체험교실에서 심폐소생술(CPR) 교육을 받고 있다./뉴스1

8일 한국소비자원이 ‘응급처치 교육 실태조사(작년 12월 발표)’ 자료에 따르면 고등학교에서 응급처치 교육을 받은 대학생 가운데 응급처치 방법을 숙지한 학생은 11.7%에 불과했다. 응답자 대부분(93.9%)은 고교 졸업 후 추가적인 교육이 필요하다고 답변했지만, 실제로 재교육을 받은 학생은 11%에 불과했다.

응급처치 교육의 실효성이 떨어지는 건 교육 시간과 빈도가 적기 때문이다. 인천 남동구에 거주하는 대학생 김모(20)씨는 “CPR 교육을 받긴 했지만 막상 사람이 쓰러져 있으면 못할 것 같다는 생각이 들었다”며 “교육을 1년에 한 번, 한 시간 정도밖에 안했고 실습도 한 학급에 몇 명만 나와서 하는 식으로 진행했기에 큰 도움은 받지 못한 것 같다”고 했다.

경기 오산의 한 고등학교에 재학 중인 윤모(18)양은 “이태원 참사 이후로 ‘개인적으로 CPR 교육을 받아야겠다’는 생각이 들었다”면서 “실전에서 위급한 사람을 살리려면 모든 과정을 정확히 알아야 하는데, 학교 강의는 한명씩 봐주는 게 아니다 보니 정확히 어떻게 해야하는지는 헷갈린다”고 말했다.

현행 ‘학교안전교육 실시 기준 등에 관한 고시’에 따르면 응급처치교육에 할당된 시간은 학기당 2시간에 불과하다. 초·중·고등학생은 7개 영역(생활안전·교통안전·폭력예방과 신변보호교육·약물사이버중독예방교육·재난안전교육·직업안전교육·응급처치교육)에 대한 안전교육을 학기당 51시간 이상 수료해야 하는데, 응급처치교육의 경우 2시간 동안 응급처치 상황, 신고 방법, CPR 및 자동제세동기 사용법 등을 모두 교육받는 것이다.

전문가들은 응급처치교육을 비롯한 안전교육 전반을 체계화하고, 실습 위주로 교육 시간을 늘려야 한다고 주장하고 있다. 공하성 우석대 소방방재학과 교수는 “현행 응급처치교육은 3개월에 1시간 꼴로 진행하는데, 사실상 CPR 교육 하나를 제대로 익히기에도 짧은 시간”이라며 “모든 학생들이 전문가 지도 하에 한번씩이라도 CPR 순서를 익힐 수 있도록 실습 시간을 늘려야 한다”고 말했다.

공 교수는 또 “응급처치교육을 비롯한 안전·보건 교육 전반을 정규 교과로 만들면 학생들도 처치법을 제대로 체화할 수 있을 것”이라며 “해외처럼 실제 상황을 가정한 환경에서 실습을 진행해야 한다”고 덧붙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