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러스트=정다운

법조계 고위직 가운데 가장 재산이 많은 이는 판사로 나타났다. 판사들의 평균 재산은 작년보다 약 5000만원 늘어난 데 비해 법무부와 검찰 고위 간부들의 평균 재산은 800만원가량 줄어들었다.

31일 대법원 공직자윤리위원회와 정부공직자윤리위원회가 공개한 ‘고위 공직자 정기 재산변동사항’에 따르면 사법부(대법원 포함), 헌법재판소, 법무부·대검찰청 소속 고위 공직자 210명의 평균 재산총액은 33억540만원이었다. 사법부와 헌재를 합한 평균 재산은 37억2399만원으로, 법무·검찰의 평균 재산(20억3355만원)보다 많았다.

정보 공개 대상자는 사법부 144명, 헌재 14명, 법무부 14명, 대검찰청 38명이다.

고위 법관 144명의 평균 재산은 38억1434만원으로 지난해(37억6495만원)보다 약 5000만원 늘었다. 반면 법무부와 대검찰청 소속 재산공개 대상자 52명의 평균 재산은 20억3355만원으로 전년(20억4129만원)보다 800만원가량 줄어들었다.

법조계 고위 공무원단 중에서 가장 재산이 많은 사람은 김동오 의정부지방법원 원로법관이었다. 김 원로법관은 지난해보다 34억2000만원 늘어난 270억4600만원을 신고했다. 봉급저축 및 임대소득 등으로 재산이 늘어났다.

이어 윤승은 법원도서관장이 189억5654만원, 최상열 서울중앙지법 원로법관이 163억409만원의 재산을 신고하며 뒤를 이었다.

김명수 대법원장은 16억1020만원의 재산을 신고했다. 유남석 헌법재판소장은 32억9994만원을 신고했다. 3억308만원의 재산을 신고한 천대엽 대법관은 지난해에 이어 재산이 가장 적은 법관으로 집계됐다.

법무부·검찰 고위직 중에선 노정연 창원지검장이 56억3761억원으로 재산이 가장 많았다. 이어 배용원 서울북부지검장이 42억6343만원을 신고해 뒤를 이었다.

박범계 법무부 장관은 지난해보다 약 4000만원 늘어난 13억377만원의 재산을 신고했다. 김오수 검찰총장은 17억1453만원, 이정수 서울중앙지검장은 32억9992만원을 신고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