모태펀드 1차 정시출자 사업의 결성시한이 무더기 연장된다. 위탁운용사(GP)로 최종 선정된 벤처캐피털(VC) 전체의 절반 이상이 펀드 결성시한을 지키지 못하면서다. 결성시한 일괄 연장이 적용될 것으로 보이지만, 추후 GP 자격 반납이 잇따를 것이란 관측이 나온다.

한국벤처투자 홈페이지 갈무리. /조선DB

2일 한국벤처투자와 VC업계에 따르면 올해 중소벤처기업부 소관 모태펀드 1차 정시 출자사업에 최종 GP로 선정된 VC 43곳 중 20곳 이상 VC가 전날까지였던 펀드 결성 3개월 시한을 지키지 못했다. 전체 GP의 절반에 못 미치는 20곳 VC만이 최근 펀드 결성을 완료한 것으로 파악됐다.

앞서 지난 4월 1일 모태펀드는 중기부 소관 1차 정시 출자사업 출자 규모를 4160억원으로 확정하고, 43개 VC를 GP로 선정했다. 각 GP에 최소 13억원에서 최대 250억원까지 총 4160억원 자금을 내면 GP가 비슷하거나 더 많은 자금을 유치해 총 7385억원 규모 펀드를 만드는 게 핵심이었다.

업계에선 결성시한 만료 시점 기준 펀드 결성이 계획의 절반 수준에 그친 것은 이번이 처음이라고 보고 있다. 고금리 지속으로 모험자본으로의 자금 공급이 줄었지만, 지난해만 해도 모태펀드 출자사업에서 결성시한 만료 시점 기준 펀드 미결성 비중은 20% 수준에 그쳤기 때문이다.

3개월로 줄어든 결성시한이 펀드 미결성 속출로 이어졌다는 분석이다. 모태펀드는 그동안 출자 대상 펀드 결성에 6개월의 시간을 줬다. 선정 공고일 기준 3개월 이내 펀드를 결성하되 추가 3개월 자동 연장을 적용했다. 이후 1개월씩 연장했다. 하지만 이번엔 3개월을 기준으로 삼았다.

여기에 모태펀드로 VC의 지원마저 몰렸다. 고금리로 펀드 자금 모집이 어려워진 VC들은 대거 정부 정책 자금인 모태펀드를 택했다. 지난 2월 22일 149곳의 GP가 모태펀드 1차 출자사업에 도전장을 냈고, 43곳이 선정됐다. 작년 1차 정시출자에서 10곳이 선정됐던 것과 대조된다.

VC업계 관계자는 “43곳 VC가 3개월로 정해진 시한 동안 민간 출자자 확보 경쟁을 펼치다 보니 그 어느 때보다 출자자 확보가 어려웠다”면서 “1차 출자사업 도전 이전에 이미 어느 정도 펀드 출자자를 확보해 두지 않은 채였다면 펀드 결성 자체가 불가능한 구조였다”고 말했다.

중소벤처기업부와 한국벤처투자가 지난 6월 24일 제2차 모태펀드 출자전략위원회를 개최하고 기념촬영을 하고 있다. /중소벤처기업부 제공

한국벤처투자는 펀드 결성 시한을 지키지 못한 20여곳 GP에 일괄 1개월 기한 연장을 적용한다는 방침이다. 앞서 결성시한(3개월) 내 결성을 완료하는 것을 원칙으로 정하고 기한 내 미결성 시 자금을 회수해 곧장 2차 출자사업에 활용하겠단 방침을 정했지만, 한걸음 물러섰다.

한국벤처투자 측은 “올해는 신속한 투자금 공급을 위해 모태기금(펀드) 출자사업의 운영구조를 변경한 첫해”라면서 “작년까지만 해도 6개월 기한에 1개월 추가 연장 후 결성 실패 시 출자사업 참여제한 페널티를 줬는데, 올해는 펀드 결성에 실패해도 페널티를 주지 않기로 했다”고 말했다.

시장에선 펀드 결성 시한 1개월 추가 연장이 끝나는 내달 1일이면 VC들의 GP 자격 반납이 줄을 이을 것으로 보고 있다. 이미 90% 이상 모집을 완료한 후 펀드 규모를 키우기 위해 연장을 택한 곳도 일부 있지만, 대부분 결성액의 70% 수준 자금 확보에 그치고 있는 것으로 파악됐다.

VC업계 한 관계자는 “고금리로 금융권과 공제회 등이 벤처투자 분야에 지갑을 닫으면서 출자자 모집이 그 어느 때보다 어렵다”면서 “모태펀드가 GP 자격을 반납해도 페널티를 주지 않기로 하면서, 일단 GP 선정부터 되고 보자는 움직임도 늘었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