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배주주와 일반주주의 이해관계가 일치하는 상장사의 주가 수익률이 유가증권시장의 5년간 평균 수익률의 3배가 넘는다는 연구 결과가 나왔다.

일러스트=정다운

26일 한국ESG연구소(KRESG)는 2019년 1월 말부터 2024년 5월 말까지 최대주주와 특수관계인 지분 변동 상위 50개 종목을 선정해 백테스팅(과거 데이터를 이용한 시뮬레이션)을 진행한 결과를 발표했다.

연구소는 유가증권·코스닥시장 시총 상위 500위 이내 기업이면서 과거 20일 평균 거래대금이 10억원 이상이고, 상장 후 13개월이 지난 KRESG 지배구조 등급 ‘B+’ 이상인 기업들 가운데 ‘지배주주와 일반주주 이해관계가 일치하는’ 종목 50개를 선정했다.

종목 선정일 기준 과거 6개월간 최대주주(지배주주)와 특수관계인이 자사주를 사들였다면 지배주주와 일반주주의 이해관계가 일치한 신호로 보고 상위 50개 기업을 꼽았다.

결과에 따르면 대상 기업을 동일 비중으로 구성한 포트폴리오(리밸런싱 주기 6개월)는 연평균 12.4%의 수익률을 기록해 코스피 평균(3.4%)보다 우수한 성과를 기록했다.

시가총액 비중에 따라 구성한 포트폴리오의 연평균 수익률은 10.4%로 나타났다. 조사 기간 코스피 누적 상승률은 19.6%였지만, 50개 기업의 동일 비중 포트폴리오 수익률은 86.6%, 시총 비중 포트폴리오 수익률은 69.7%로 시장 평균보다 압도적으로 높았다.

연구소는 “코리아 디스카운트(한국증시 저평가)의 근본적인 원인은 지배주주와 일반주주(투자자)의 이해관계가 일치하지 않는 것”이라며 “통상 이사회와 임원은 지배주주의 이익을 극대화하는 방향으로 의사 결정한다”고 설명했다.

이어 “기업설명(IR) 미팅, 계획, 목표, 예상, 인터뷰 등 말보다 지분 매수라는 행동을 파악해야 한다”며 지배주주와 경영진의 자사주 매수는 단기적으로는 저평가 여부, 장기적으로는 이해관계 일치 정도를 판단할 수 있는 신호라고 설명했다.

지배주주·일반주주 이해관계가 일치하는 기업으로 구성한 포트폴리오는 하락장에서도 상대적으로 강했다. 2022년 코스피 지수는 미국 연방준비제도(Fed·연준)의 급격한 기준금리 인상으로 24.9% 하락했다. 하지만 연구소의 포트폴리오는 동일 비중의 경우 21.2%, 시총 비중의 경우 16.2% 주가가 떨어지는 데 그쳤다.

연구소는 “지배주주와 일반주주의 이해관계 불일치 해소를 위해서는 기관투자자의 역할이 중요하다”며 “기관투자자의 적극적인 관여와 스튜어드십 코드(수탁자 책임 원칙) 준수로 밸류업·코리아 디스카운트 해소가 가능할 것”이라고 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