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동해 심해 석유·가스’ 테마주(株) 주가가 일제히 곤두박질쳤다. 매장 분석을 담당한 미국 액트지오(Act-Geo)가 기자회견 뒤 탐사 리스크(위험)를 걱정하는 투자자가 늘어난 것으로 보인다.

한국가스공사 주식은 7일 유가증권시장에서 3만8200원에 거래를 마쳤다. 전 거래일보다 주가가 12.59%(5500원) 내렸다. 최근 10년 중 한국가스공사 주가가 하루 새 가장 많이 떨어진 날이 됐다. 시가총액도 5350억원 증발했다.

동해 심해 석유·가스 매장 분석을 담당한 미국 액트지오(Act-Geo)의 비토르 아브레우 고문이 7일 오전 정부세종청사 산업통상자원부 기자실에서 동해 심해 가스전 개발과 관련한 질문에 답하고 있다. /연합뉴스

한국가스공사 주가는 지난 3일 윤석열 대통령이 직접 동해 심해 석유·가스 매장 가능성을 발표한 뒤 급등했다. 한국거래소가 한국가스공사를 단기과열종목으로 지정, 이날부터 3거래일간 30분 단위로 매매가 체결되는 단일가매매방식을 적용한 이유다.

한국가스공사 주식이 급락한 것은 이날 오전 10시부터다. 액트지오 설립자이자 소유자인 비토르 아브레우 고문이 정부세종청사에서 기자회견을 시작한 시점이다. 아브레우 고문은 동해 심해 석유·가스 프로젝트의 “유망성이 상당히 크다”며 “이미 전 세계적인 석유 관련 회사들이 크게 주목하고 있다”고 말했다.

하지만 투자자들은 아브레우 고문의 “상당한 규모의 경제성 있는 탄화수소가 누적돼 있다는 사실을 지질 분석에서 찾지 못한 점은 리스크 요인” “시추하지 않으면 리스크를 전부 없애는 것은 불가능해 지금 마지막 남은 방법은 시추다” 등의 발언에 더 주목한 것으로 보인다.

기자회견 직후 다른 동해 심해 석유·가스 테마주들도 일제히 내림세를 보였다.한국ANKOR유전(152550) 주가는 전 거래일보다 20% 넘게 빠졌고 한국석유(004090), 흥구석유(024060), 대성에너지(117580), 중앙에너비스(000440) 등도 약세였다.

강관(철로 만든 관) 업체들도 마찬가지였다. 3거래일 연속 상한가(일일 가격 제한폭 최상단)를 찍었던 동양철관(008970)은 이날 주가가 7.6% 내렸고, 하이스틸(071090)휴스틸(005010)도 두 자릿수 하락률을 기록했다.

시장에선 단기 과열 가능성을 두고 지속해서 경고의 목소리를 내왔다. 유전 개발은 크게 물리 탐사 → 탐사 시추 → 상업 개발 3단계로 이뤄지는데, 동해 심해 석유·가스 프로젝트는 물리 탐사를 통해 매장 가능성을 확인한 단계일 뿐이어서다. 상업 개발까지 7~10년이 걸린다.

강진혁 신한투자증권 연구원은 “석유·가스 매장 가능성은 지질학적으로 다만 석유 부존 여부 및 부존량 확인, 나아가 채굴 경제성 평가 등 넘어야 할 단계가 남아있다”며 “(동해 석유·가스 테마주는) 옥석 가리기를 통한 트레이딩 관점으로 접근해야 한다”고 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