효성화학 특수가스 사업부 경영권 인수에 국내 주요 사모펀드(PEF) 운용사들이 출사표를 던진 가운데 매각 측의 모호한 입장으로 원매자들의 피로감이 높아지고 있다. 업계에선 경영권 매각으로 돌아섰다고 보고 있지만, 효성화학 측은 여전히 소수지분 매각이 원칙이라는 입장을 고수하고 있다. 딜 구조도 정확히 드러나지 않은 셈이다.

효성화학 삼불화질소(NF3) 공장. /효성화학 홈페이지

7일 투자은행(IB) 업계에 따르면 국내 PEF 운용사들은 이달 초 효성화학 특수가스 매각 주관사인 UBS에 경영권 인수 의향을 밝혔다. IMM PE와 IMM인베스트먼트, 스틱인베스트먼트(026890), 어펄마캐피탈, 노앤파트너스 등이 인수 후보로 알려졌다.

이 과정에서 매각 대상이 소수 지분에서 경영권으로 바뀌거나, 상시 매각 제안을 받는 등 매각자 측의 모호한 입장이 지속되고 있다. 효성화학이 매각과 관련해 원매자마다 다른 내용을 전달하는 등 여러 주머니를 차고 있다는 후문도 있다.

매각자 측의 모호한 입장 때문에 원매자들의 피로감이 커지고 있다. 업계에선 효성화학이 협상 과정에서 우위를 점하기 위해 이런 태도를 보이는 것이란 분석이 나온다. 주관사인 UBS 역시 효성화학의 의중에 따라 움직이는 것으로 보인다.

한 IB 업계 관계자는 “주관사인 UBS는 매각자 우위 거래의 경우 원매자들을 쥐어짜는 식으로 협상을 이어가곤 한다”며 “최대한 많은 제안을 확보하다 보니 원매자 입장에선 피곤할 수밖에 없다”고 전했다.

효성화학 측은 여전히 소수 지분 매각을 원칙으로 고수하고 있다. 효성화학 관계자는 “몇몇 투자사로부터 논바인딩 제안을 받았을 뿐 본입찰이 마감된 것은 아니다”라며 “투자사가 제안하면 이를 거절하지 않고 검토하고 있다”고 답했다. 이어 “소수 지분 매각이 원칙이나 몇몇 운용사가 경영권 인수를 제안한 것으로 안다”고 말했다.

효성화학 특수가스 부문 매각은 지난 3월 예비입찰을 시작으로 본격 시작됐다. 지난 4월 숏리스트 9곳을 선정에 각 운용사에 통보했다. 이후 효성화학 측은 일부 운용사에 경영권 매각으로 전환한 사실을 알렸고, 이 중 5곳은 경영권 인수 의향을 밝히며 이달 초 인수 희망가를 제출한 상태다. 인수 의향을 밝힌 이들은 이달 중순까지 실사를 할 예정이다.

효성그룹은 재무구조 개선을 위해 효성화학 특수가스 매각 카드를 꺼내 들었다. 석유화학 업계 불황 여파로 지난해 말 기준 효성화학 부채는 3조원에 달한다. 부채비율은 4934%로 2021년(522%), 2022년(2631%) 등 3년 연속 급증하고 있다. 통상 부채비율이 200%를 넘어설 경우 재무 안정성이 불안정하다고 판단한다. 지난해 기준 매출액 2조7916억원, 영업손실 1888억원을 기록했다.

효성화학 특수가스 사업부는 반도체, 디스플레이 제조 공정에서 발생하는 이물질을 세척하는 삼불화질소(NF3)를 생산한다. 지난해 기준 특수가스사업부의 매출과 영업이익은 각각 1684억원과 200억원을 기록했다. 경영권을 포함한 기업가치는 1조원을 넘어설 것으로 보인다. 영업이익 대비 몸값이 비싸지만 전방 산업인 반도체 업황 회복 기대감과 과점 사업이라는 특수성 등이 반영된 것으로 보인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