원자력 발전 계측제어설비 정비 전문기업 우진엔텍이 18일 증권신고서를 제출했다고 밝혔다.

우진엔텍 CI.

증권신고서에 따르면 우진엔텍은 이번 기업공개(IPO)를 통해 총 206만주를 공모하며 희망 공모가 범위는 4300~4900원으로 제시했다. 내년 1월 8~12일 닷새간 수요예측을 진행한 후 16~17일에 일반투자자 청약을 진행할 예정이다. 상장 주관사는 KB증권이다.

우진엔텍은 전국 10곳의 원자력, 화력 발전소에서 계측제어설비 정비 용역과 시운전 공사를 제공하고 있다. 원전 건설 후 시운전부터 상시 운영 중인 발전소의 경상정비, 정기점검이라고 할 수 있는 계획예방정비, 그리고 원자력발전소 해체 분야까지 아우르는 발전의 모든 사이클에 참여하고 있다.

최근 원자력 부문과 화력 부문, 그리고 방사선 감시 장비 등의 개발을 포함하는 기타 부문까지 각 사업부가 고루 성장하며 지난해 매출 374억원, 영업이익 57억원(영업이익률 15.2%)을 기록했다. 올해 3분기까지 영업이익은 59억원으로 지난해 전체 이익을 넘어섰다.

우진엔텍은 정부 국책과제를 통해 원전 해체의 핵심 기술 개발 성과를 보유한다는 구상이다. 2017년 영구정지된 고리 1호기, 2019년 영구정지된 월성 1호기를 대상으로 2026년부터 원전 해체 사업에 진출할 계획이다.

상장 후에 원자력발전소 운영의 핵심 부품 국산화에도 힘쓸 계획이다. 최근 우진엔텍은 원자력발전소 보조급수계통 제어 패널을 국산화에 성공해 한빛 1호기에 공급을 시작했으며, 방사선 영상 구현기술 장비인 G-CAM도 개발해 국내 원자력발전소에 공급하고 있다.

우진엔텍은 원자력 발전소 계측기 전문업체인 유가증권 상장사 우진의 핵심 자회사다. 원자력 발전에 특화된 계측제어설비 정비와 부품 전문 기업들을 관계사로 두고 있어 수주와 개발에 사업적 시너지도 기대할 수 있다.

신상연 우진엔텍 대표이사는 “우진엔텍은 최고의 기술력을 보유한 원자력 계측제어설비 정비회사”라며 “향후 원자력 발전소의 건설 후, 시운전부터 경상정비는 물론이고 더 나아가 원전 해체 및 부지복원까지의 모든 사이클을 아우르며 지속적인 수요가 발생되는 전방시장에서 경쟁력을 가진 회사로 성장해 나가겠다”고 포부를 밝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