올해 코스닥 시장의 데이트레이딩(당일 매수·매도) 비중이 역대 최대 수준인 것으로 나타났다.

그래픽=손민균

17일 한국거래소에 따르면 올해 들어 이달 13일까지 유가증권 시장과 코스닥 시장의 데이트레이딩 거래량은 총 1020억9774만주로, 전체 거래량(1752억3760만주)의 58%에 달하는 것으로 집계됐다. 같은 기간 데이트레이딩 거래대금은 총 1111조원1139억원으로, 전체 거래대금(2302조5862억원)의 48%를 차지했다.

주식을 매수한 날 바로 되파는 데이트레이딩은 유가증권 시장보다 코스닥 시장에서 더 활발했다. 거래소에 따르면 올해 코스닥 거래대금의 57.1%가 데이트레이딩이었다. 거래소가 관련 집계를 시작한 2005년 이래 최대치다. 2022년과 2023년 비중은 각각 53%, 55%였다. 코스닥 시장의 데이트레이딩 비중은 2005년부터 2019년까지 40%대를 유지하다가 2020년부터 50%대에 진입했다.

코스닥 시장에서는 기업인수목적회사(SPAC·스팩) 종목들이 데이트레이딩 비중 상위권에 올랐다. 노브랜드(145170)(89%)와 씨씨에스(066790)(79%), 와이씨(232140)(75%), 신성델타테크(065350)(73%), 필옵틱스(161580)(70%) 등의 데이트레이딩 비중도 컸다.

올해 유가증권 시장의 데이트레이딩 비중은 40.1%로 나타났다. 2022년과 2023년의 코스피 데이트레이딩 비중은 각각 40.8%, 40.1%였다. 코스피 종목 중에서는 삼성공조(006660)의 데이트레이딩 비중이 84%로 가장 컸다. 코오롱모빌리티그룹(450140)(80%), 동일고무벨트(163560)(79%), 비상교육(100220)(78%), 제주은행(006220)(78%), 한국석유(004090)(78%), 광전자(017900)(77%) 등이 뒤를 이었다.

주로 개인이 단타 매매에 나섰다. 올해 한국 증시 데이트레이딩에서 개인 비중은 71.3%에 달했다. 글로벌 증시와 비교해 상대적으로 수익률이 부진했던 국내 증시에 답답함을 느낀 개인 투자자들이 방망이를 짧게 잡은 것으로 풀이된다. 외국인과 기관 비중은 각각 17.8%, 10.2%로 집계됐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