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태블릿에는 완전 볼로 찍혔다.”

프로야구 한화 이글스 최원호 감독은 지난 22일 대전 LG전에 3회말 안치홍 타석 때 그라운드로 나와 주심 김익수 심판에게 무언가를 어필했다. 최원호 감독의 손에는 ABS(자동투구판정시스템) 확인을 위한 태블릿이 쥐어져 있었다. KBO는 올해 ABS 도입에 맞춰 양 팀 덕아웃에 투구 위치를 확인할 수 있는 태블릿PC를 제공하고 있다.

안치홍 타석에서 LG 투수 디트릭 엔스가 던진 4구째 공에 대한 어필이었다. 스리볼에서 엔스가 던진 4구째 직구가 바깥쪽 높게 벗어난 것으로 보였지만 ABS는 스트라이크 판정을 내렸다. 1루로 걸어나가려던 안치홍이 멈칫했고, 1루 덕아웃에서 태블릿으로 투구 위치를 확인한 최원호 감독이 어필을 위해 나온 것이다.

23일 LG전을 앞두고 취재진을 만난 최 감독은 이 상황에 대해 “태블릿에는 완전 볼로 찍혔다. 모서리 쪽에 공간이 생길 정도였다. TV 중계 화면상 ABS존은 시청자 편의로 공 크기를 크게 표시해서 태블릿에 나오는 것과 다르다”고 밝혔다. TV 중계 화면상 바깥쪽 높게 살짝 물린 것으로 나왔지만 태블릿에는 공 하나 정도 완전히 벗어나게 찍혔다는 것이다.

하지만 주심과 3루심, 양 측 덕아웃 수신기에는 스트라이크로 전달됐다. 최 감독은 “콜이 잘못된 건지, 태블릿에 나온 게 잘못된 건지 명확하지 않다. 태블릿과 콜이 따로 논 것인데 뭐가 정확한지 모르겠다. (콜이 정확하다면) 그럼 뭐하러 태블릿을 가져다 준건가”라며 “살짝 물리기라도 했으면 몰라도 태블릿에 (공과 존 사이) 흰색 바탕이 뜨는 게 보일 정도였다. 그래서 어필한 것이다”는 설명을 내놓았다.

심판은 수신기에 나온 콜에 따라 이 공을 스트라이크로 판정했고, 경기는 그대로 진행됐다. 안치홍은 5구째 스트라이크 이후 6구째 볼을 골라내 볼넷으로 걸어나갔고, 판정이 경기에 미친 영향은 크지 않았다.

그러나 앞으로 만약 승부처에서 수신기에 전달된 콜과 태블릿 위치에 들어온 공이 일치하지 않는다면 큰 문제가 될 수 있다. ABS 도입 첫 해이다 보니 여러 시행착오가 발생하고 있는데 현장에서는 아직 혼선이 빚어지고 있다. 오류가 있다면 제대로 바로잡아야 한다. /waw@osen.co.kr

[OSEN=대전, 이상학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