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교 최대어 투수 장현석(19·마산용마고)의 미국 진출 가능성이 높아지면서 2024 KBO 신인 드래프트의 판도가 확 바뀔 전망이다.

오는 15일 2024 KBO 신인 드래프트 신청 접수 마감일이 다가오면서 장현석의 거취에 관심이 집중되고 있다. 190cm 90kg 거구의 우완 정통파 투수 장현석은 2학년이었던 지난해 벌써 최고 구속 156km를 뿌리며 괴물 등장을 알렸다.

올초만 해도 장현석은 미국 진출보다 국내 잔류에 잔류할 것이라는 전망이 우세했다. 지난 4월 신세계 이마트배를 마친 뒤 이두근 부상으로 3개월 가까이 실전 공백기를 가지면서 메이저리그 스카우트들에게 잠재력을 어필할 기회가 많지 않았다.

하지만 지난달 청룡기에서 최고 155km 강속구를 던져 건재를 알렸다. 2회전에서 광주진흥고를 상대로 3⅓이닝 1피안타 1볼넷 6탈삼진 무실점으로 복귀를 알렸고, 8강 장충고전에서 6⅔이닝 3피안타 4볼넷 14탈삼진 무실점 호투로 강렬한 인상을 남겼다.

부드러운 투구폼에서 빠른 공뿐만 아니라 각도 큰 커브를 던지는 장현석은 전체적인 투구 밸런스나 제구력도 높게 평가됐다. 올해 1월 피츠버그 파이어리츠와 계약하며 미국 무대로 직행한 심준석(19)과 비교되면서 메이저리그의 관심이 더 커졌고, 미국 진출 쪽으로 무게가 기우는 분위기다.

전체 1순위 지명권을 가진 한화로선 아쉬울 만한 상황. 하지만 한화에는 또 다른 거물 투수 황준서(18·장충고)라는 확실한 대안이 있다. 장현석 다음 가는 고교 ‘넘버투’로 평가받는 황준서는 2학년이었던 지난해 청소년대표팀에 발탁될 만큼 일찍이 가능성을 인정받았다.

물론 장현석과 황준서 사이의 간극은 상당히 크다. 한 스카우트는 “황준서도 좋은 투수이고, 계속해서 발전 중이다. 지난해 이맘때 윤영철(KIA)보다 낫다”면서도 “장현석과 비교할 순 없다. 사이즈 자체가 다르다. 몸이 아프지만 않으면 장현석을 외면할 팀은 없을 것이다”고 평가했다.

하지만 황준서의 성장세는 장현석의 대안으로 부족함이 없다. 187cm 80kg 좌완 투수 황준서는 올해 체중을 5kg가량 불려 볼에 힘이 붙었다. 최고 구속을 150km까지 끌어올려 ‘공 빠른 윤영철’이라는 평가를 받고 있다. 최근 청룡기 4강 경북고전에서 4⅓이닝 5실점으로 부진했지만 올해 고교 14경기(44⅓이닝) 6승1패 평균자책점 2.25 탈삼진 52개로 호투했다.

좌완으로서 공을 숨기는 디셉션 동작이 좋고, 제구와 주무기 스플리터 완성도가 높다. 비슷한 유형의 좌완 투수 윤영철이 올해 데뷔 첫 해부터 빠르게 선발로 자리잡은 것처럼 즉시 전력으로 기대할 만하다. 좌완이 부족한 한화 마운드 구성상 황준서는 좌우 밸런스를 맞춰줄 카드가 될 수도 있다.

장현석의 미국행이 확정된다면 한화 다음 2순위 지명권을 가진 두산의 지명 전략 수정이 불가피하다. 우완 강속구 투수 김택연(인천고) 지명 가능성이 높은 가운데 3순위 롯데 순번부터 조대현(강릉고), 육선엽(장충고), 전미르(경북고) 등 여러 투수 유망주들을 두고 예측하기 어려운 혼돈의 드래프트가 될 것으로 보인다.

/waw@osen.co.kr

[OSEN=이상학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