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국이 인천에서 400km 떨어진 산둥성 앞바다에 떠다니는 원자력발전소 건설을 추진한다.

중국 해상 원전 개념도

최근 중국 국무원이 공개한 140여쪽 분량의 ‘14차 5개년 계획(14·5계획) 및 2035년까지의 장기 목표 강요’ 초안에는 원전 관련 부분에서 해상 원전을 추진한다는 내용이 포함됐다.

국무원은 2021∼2025년 원전 운영 방향을 설명하며 "해상 부유식 핵동력 플랫폼 등 선진 원자로 시범 사업을 추진한다"고 밝혔다. ‘해상 부유식 핵동력 플랫폼’은 바지선이나 선박에 실려 해상에서 운영되는 원전으로, 위치를 자유롭게 옮길 수 있다.

중국 국무원의 중·장기 경제 청사진인 14·5계획에 이런 내용이 담긴 것은 중국 정부가 해상 원전 시험에 본격적으로 나서겠다는 방침을 확정하고 공표한 것으로 볼 수 있다.

중국핵공업그룹(CNNC)은 지난 2010년부터 해상 원전 연구를 시작했고, 현재는 관련 개발을 사실상 마치고 중국 정부의 최종 설치 승인을 기다리고 있는 상태다.

CNNC 산하 중국핵동력연구설계원의 뤄치 원장은 2019년 3월 중국 매체와의 인터뷰에서 "정부의 허가만 순조롭게 나오면 당장도 착공이 가능하다"며 "설치 예정 장소는 산둥성 옌타이시 앞바다"라고 언급한 바 있다.

산둥성은 중국에서 한국과 가장 가까운 곳이다. 산둥성 옌타이에서 인천까지 직선거리는 약 400㎞에 불과하다. 이에 중국 해상 원전에서 사고가 발생하는 경우, 우리나라에도 영향이 불가피하다는 우려가 제기되고 있다.

그린피스 등 국제 환경단체들은 해상원전을 ‘떠다니는 체르노빌’, ‘핵 타이타닉’이라고 부르며 반대하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