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부모 10명 중 7명 "학원·과외에 더 의존"
"형편 어려운 학생에게 '교육 바우처' 지급해야"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사태로 지난해에 이어 올해에도 원격수업이 불가피한 가운데 학부모 사이에서 학습격차에 대한 우려가 사교육 부담으로 이어지고 있다.

7일 교육계에 따르면 지난해 학교 내 코로나19 집단감염 우려로 등교수업이 축소되면서 사교육의 영향력이 상대적으로 커졌다. 학부모 입장에서는 공교육에서 발생한 자녀의 학습격차를 사교육을 통해 해결할 수밖에 없는 상황이다.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확산으로 그동안 중단됐던 학원 운영이 부분적으로 재개된 지난달 18일 서울 대치동 학원가 인근에서 학생들이 학원으로 향하고 있다.

최근 한 설문조사에서도 수도권 지역 유치원과 초·중·고교 학부모 응답자 중 73%가 사교육에 더 의존하게 됐다고 응답했다. 이들은 대부분 코로나19로 인해 기초학습 부진에 이어 학습격차도 더 커졌다고 우려했다.

또 '학교가 코로나19 감염에서 안전하다'는 방역당국의 연구 결과에 대해서는 '동의한다'는 응답이 34%에 불과했다. 이는 변이 바이러스 등에 의해 코로나19가 재확산할 경우 등교수업 축소와 함께 공교육의 입지가 더 좁아질 것이라는 분석과 맞물린다.

이런 가운데 교육부가 올해 등교수업을 확대하겠다고 발표했지만, 초등학교 고학년과 중·고등학생은 대상에서 제외돼 사교육 의존도가 점차 심해질 수 있다는 지적도 나온다.

지난해 8월 서울 송파구 보인고등학교 1학년 교실에서 선생님이 원격수업을 하고 있다.

중학생 자녀를 둔 한 학부모는 "이제 곧 고등학생이 되는데 코로나 탓에 제대로 된 학교 교육이 어려워 불안감이 크다"면서 "물론 코로나 사태 전에도 아이를 학원에 보냈지만, 지금은 더 의존하는 분위기"라고 말했다.

특히 맞벌이 가정의 경우 재택근무를 하지 않으면 자녀 혼자 가정에서 원격수업을 듣게 해야 점도 부담을 키우는 요소다.

실제로 지난해 3월 교육부와 통계청이 발표한 사교육비 조사 결과를 보면 2019년 기준 학생 1인당 월평균 사교육비는 32만1000만원으로 역대 최고치를 나타냈다.

사교육비 총액도 21조원으로 2010년 이후 최대 규모다. 2010년부터 감소하기 시작한 사교육비 총액은 지난 2015년부터 최저점을 찍고 다시 증가세를 보이고 있다.

현재로서는 방역당국의 조치로 학원 운영 제한이 지속하면서 사교육 역시 쉽지 않다. 하지만 통계에 잡히지 않는 개인과외 등 사교육은 오히려 늘어날 수 있다는 관측이 우세하다.

일각에서는 코로나19 상황에서 학습격차를 해소하는 데 사교육을 활용하는 방안을 모색할 필요가 있다는 주장도 제기됐다. 기초학력 향상 등을 위해 사교육이 필요하지만, 경제적 형편이 어려워 사교육을 받을 기회조차 없는 학생을 지원하는 데 중점을 둬야 한다는 것이다.

한 교육계 관계자는 "사교육을 못하게 할 것이 아니라면 교육 불평등을 해소하기 위해서라도 '교육바우처' 지급 등을 통해 사교육의 도움을 받도록 하는 것도 한 방법"이라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