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구 급증과 식량 및 식수 부족으로 인해 2050년까지 약 10억명 이상의 ‘환경 난민’이 발생할 것이라고 호주 싱크탱크인 경제평화연구소(IEP)가 최근 보고서를 통해 전망했다.

9일(현지 시각) 로이터 통신에 따르면 IEP는 2050년까지 중앙아시아, 중동, 그리고 사하라 이남 아프리카 지역에서 12억 이상이 자원 부족과 무력 분쟁으로 인해 난민 상태에 놓일 것으로 봤다.

특히 2050년이 되면 전세계 인구가 100억명 가까이 도달할 것으로 추정되는 가운데 식수 및 식량 확보는 더욱 어려워질 것으로 예상했다.

인구 급증과 자원 부족으로 2050년까지 약 10억명 이상의 난민이 발생할 수 있다는 연구 결과가 발표됐다.

IEP는 매년 유엔(UN) 등을 비롯한 각종 세계기구의 자료를 분석해 ‘생태 위협 일람'을 발표하고 있다. 이들은 인구증가, 물 부족, 식량난, 가문, 홍수, 폭풍, 지구온난화, 해수면 상승을 8대 생태 위협 요소로 꼽은 뒤 각 위협에 대한 전세계 150여개국의 노출 정도를 분석했다.

그 결과 2019년 한 해 동안 상술한 생태 위협 요소들로 인해 전세계적으로 약 3000만명이 난민 상태가 된 것으로 드러났으며, 2050년까지 총 157개국 중 141개국이 최소 1개의 위협에 노출될 것으로 나타났다.

가장 위협요소에 많이 노출된 국가는 아프가니스탄으로, 6개 생태 위협 요소에 직면에 가장 불안한 국가로 지목됐다. 그 뒤로는 모잠비크・인도・이란・파키스탄 등 16개국이 총 4개 위협요소를 가진 것으로 드러났다.
IEP는 중국과 인도 지역에서 식수 문제가 가장 큰 위협으로 두드러진 반면, 파키스탄・케냐・이란과 같은 지역에서는 무력 분쟁 등이 생태적인 요소들과 복합적으로 나타나고 있어 특히 주의를 요한다고 분석했다.

한국과 북한은 위협요소가 각각 2개, 3개인 것으로 조사돼 리스트 중간 정도에 위치했다. 반면 스웨덴과 스위스, 핀란드, 코스타리카 등 주로 유럽 및 남아메리카에 위치한 16개국은 위협 요소가 없는 것으로 드러났다.

보고서는 "2020년 현재 비교적 안정적인 상태를 유지하고 있는 국가들도 생태 위협 요소에 많이 노출되어 있거나 ‘적극적 평화’ 면에서 점점 악화되는 모습을 보이는 곳이 많다"며 "이는 미래에 해당 국가들이 쇠퇴할 가능성이 있음을 시사한다"고 적었다.

스티브 킬렐레아 IEP 설립자는 "50년 전과 비교했을 때 전세계 식수량은 60% 감소했다"며 특히 식수 문제에 대한 관심을 촉구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