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종인 체제 출범 100일 하루앞두고 개정
영어로 'People Power Party(PPP)'
정체성 논란에도 상임전국위·전국위서 찬성
김종인 "국민 신뢰· 역량 되찾는 데 큰 기둥"
"국민과 호흡하는 정당으로 새출발"

"교부 받았습니다. 지금부터, '국민의힘' 입니다."

미래통합당 배준영 대변인이 2일 오후 4시쯤 중앙선거관리위원회로부터 새 당명 등록증을 발급받은 후 출입기자들에게 보낸 메시지다. 통합당이 이날 오후 제 3차 전국위원회를 열고 새 당명 '국민의힘'과 정강·정책 개정안을 의결했다. 이후 선관위 허가를 거쳐 공식 정당명으로 쓰게 됐다. 총선을 앞두고 출범한 통합당(2월17일) 이후 198일, '김종인 비대위 체제' 출범(5월27일) 99일 만에 당 간판이 바뀌었다.

미래통합당이 2일 '국민의힘'으로 당명 교체 과정을 마무리했다.

새로운 당명인 '국민의힘'은 띄어쓰기가 없고, 외국어 표기는 영어로는 'People Power Party(피플 파워 파티)'이고 중국어로는 '国民力量(궈어민리이량)', 일본어로 '国民の力(고쿠민노 치카라)'로 정했다.

이번 당명 개정은 김종인 비상대책위원장이 취임 전인 지난 4월 언론 인터뷰에서 "상품이 나쁘면 상표도 바꿀 수밖에 없다"고 하면서 예고된 절차였다. 지난 6월 당 홍보본부장에 김수민 전 의원을 임명해 본격적인 당명 개정 절차에 들어갔으며, 지난달 13~21일 당명 국민 공모를 실시했다.

전체 공모 1만6941건 가운데 '국민'이란 키워드가 3300여건으로 가장 많아 최종적으로 '국민의힘'으로 결정됐다.국민의힘이라는 당명은 국민으로부터 나오는 힘, 국민을 위해 행사하는 힘, 국민을 하나로 모으는 힘을 함축한 것이라는 것이 당의 설명이다.

비대위가 지난달 31일 새 당명으로 '국민의힘'을 결정하자 마자 정치권에서는 정체성 논란 등이 일었다. '국민의힘'이란 정당이 이미 존재하기 때문에 통합당이 같은 이름으로 바꿀 수 없다는 주장이 나오기도 했다.

더불어민주당 정청래 의원은 "'국민의 힘'은 내가 초대 공동대표를 맡았던 단체다. 생활정치 네트워크 '국민의 힘'은 나와 많은 회원들이 2003년에 발족한 시민단체 이름"이라며 "통합당은 도용하지 말라"고 주장했다. SNS에서는 '국민의힘'이라는 명칭을 가진 정당의 홈페이지 링크가 돌기도 했다.

미래통합당 김종인 비상대책위원장이 2일 오전 서울 여의도 국회에서 열린 전국위원회에서 발언을 하고 있다. 왼쪽부터 정우택 전국위원회 의장, 김종인 비상대책위원장, 주호영 원내대표.

통합당 내에서도 새 당명에 대해 "''국민의힘'은 포괄적이고 지나치게 추상적"이라며 "추구하는 가치적 측면에서 오히려 통합당보다 후퇴했다"는 비판이 나오기도 했다.

이러한 논란이 있었으나 당명 개정안은 지난 1일 상임전국위원회와 이날 전국위원회에서 일사천리로 의결됐다. 상임전국위원(전체 46명) 가운데 80% 이상이 찬성했으며, 전국위원 578명 가운데 90%가 찬성했다.

주호영 원내대표는 이날 오전 라디오 인터뷰에서 "지금까지는 자유, 민주, 통합과 같은 가치를 담는 당명을 많이 채택하는 경향이었는데 요즘은 가치중립적인 당명을 많이 택한다고 한다"며 "정당이 궁극적으로 추구해야 할 것은 헌법 가치 아니겠나. 헌법의 중심 개념이 국민이고, 반복적으로 국민이 주인임을 밝히고 있어 당명에 국민이라는 단어를 쓴 것이 그 취지에도 부합한다고 본다"고 했다.

김종인 위원장도 이날 전국위 인사말에서 "정강정책과 당명 개정은 국민의 신뢰와 당의 집권 역량을 되찾는 데 큰 기둥으로 세워질 것"이라며 "이제 시대변화를 선도하고 국민과 호흡하는 정당으로 거듭나 약자와 동행하며 국민 통합에 앞장서는 정당으로 체질을 바꿔나갈 것"이라고 했다.

당명 개정안과 함께 새 정강·정책인 '모두의 내일을 위한 약속'(정강)과 10대 약속인 기본정책도 전국위를 통과했다. 기본정책에는 국민이 기본소득을 통해 안정적인 삶을 영위할 수 있도록 한다는 내용이 첫번째로 명시됐다. 경제 민주화 구현, 국민 주거 안정 등이 포함됐고 새로운 노동형태의 대유행에 대비하고 양질의 일자리를 창출하겠다는 약속도 담겼다.

다만 초안에 담겼던 '국회의원 4선 연임 제한 추진' 조항과 기초의회·광역의회 통폐합 방안은 전날 비대위원회와 의총에서의 논의 끝에 최종안에서는 제외됐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