삼성전자 국내외 모든 반도체 공장이 환경안전 국제 공인 기구 UL(Underwriters Laboratories)로부터 세계 최고 수준의 '폐기물 매립 제로' 사업장으로 인정받았다. 인증 받은 사업장 8곳의 평균 자원순환율은 98.1%에 달한다.

11일 삼성전자는 지난 1월 미국 오스틴을 시작으로 국내 기흥·화성·평택·온양·천안 등 5개 사업장, 중국 시안·쑤저우 2개 사업장이 폐기물 매립 제로 인증 ‘골드’ 등급을 받았다고 밝혔다. 반도체 연구개발인력이 근무하는 화성 DSR타워는 국내 최초로 매립 폐기물 완전 제로를 달성해 '플래티넘' 등급을 획득했다.

삼성전자 국내 5개 사업장 폐기물 매립 제로 인증 수여식에서 기념촬영하는 장성대(왼쪽 세번째) 삼성전자 DS부문 환경안전센터장 전무와 정현석(왼쪽 네번째) UL코리아 대표.

UL은 폐기물 재활용 비율에 따라 플래티넘(100%), 골드(99~95%), 실버(94~90%), 인증(80%이상) 등급을 부여한다. UL은 1894년 미국에서 설립된 국제 안전 인증 시험기관이다. 제품 안전 표준 개발, 인증 등 서비스를 제공한다.

삼성전자 반도체 사업장의 평균 자원순환율은 2018년 한국폐기물협회가 조사한 국내 평균 폐기물 재활용률인 87.1%보다 10%포인트 이상 높다. 삼성전자 관계자는 "국내 반도체사업장에서 발생하는 폐기물 총량 약 60만톤 중 59만톤 이상이 재활용되거나 열에너지로 회수되는 셈"며 "이 10%에 해당하는 폐기물은 약 6만톤으로, 온실가스로 환산하면 연간 이산화탄소(CO2) 2640톤 수준이며 소나무 40만 그루를 심어야 흡수할 수 있는 양"이라고 설명했다.

삼성전자는 90년대 후반부터 반도체 생산과정에서 대량으로 발생하는 폐수 슬러지(화학물질 결정)를 시멘트 제조 원료로 사용하는 등 자원순환을 위한 노력을 지속해왔다. 2018년부터는 폐기물 배출 제로를 목표로 폐기물 재활용 가능성을 연구하고 시설투자를 진행해 왔다.

반도체 공장에서 가장 많이 나오는 폐기물은 폐수 슬러지다. 삼성전자는 탈수펌프와 필터 효율을 높이는 연구를 진행해 연간 7만5000톤의 슬러지를 저감했다. 폐액 활용을 위해 모든 생산라인에 폐액 배출 배관 시설투자를 진행했으며 이를 처리하는 협력사의 설비 증설 비용도 지원했다.

직원들도 재활용품 분리배출, 1회용품 사용 최소화 캠페인에 동참해 연간 295톤의 소각폐기물을 줄였다. 삼성전자는 이러한 노력에 말미암아 지난해 9월 자원순환 선도기업 대통령 표창을 수상하기도 했다.

박찬훈 삼성전자 DS부문 글로벌인프라총괄 부사장은 "환경을 위한 임직원 모두의 노력이 결실을 맺게 됐다"며 "친환경은 이제 선택이 아닌 필수인 만큼 지구환경 보호를 위한 기업의 사회적 책임을 다해 나가겠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