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의헌 GIST 교수팀, 빛 색깔로 눈물 속 당 농도 측정 방법 개발
"기존 피 뽑는 방식 대체하는 비침습적 당뇨 관리 가능"

채혈하지 않고도 혈당을 측정할 수 있는 기술을 개발한 정의헌 광주과학기술원(GIST) 의생명공학과 교수(오른쪽)와 김수연 석사졸업생(왼쪽).

국내 연구진이 눈물 속의 포도당(누당·淚糖) 농도에 따라 반사되는 빛깔이 달라지는 콘택트렌즈를 개발했다. 채혈 과정 없이 빛만을 이용해 당뇨 관리를 할 수 있게 됐다.

정의헌 광주과학기술원(GIST) 의생명공학과 교수 연구팀은 포도당 농도에 따라 반사하는 빛의 파장이 달라지는 나노 입자를 함유한 콘택트렌즈의 반사광 분석을 통해 비침습적이고 간단하게 누당 농도를 측정하는 장치를 처음으로 개발했다고 25일 밝혔다.

연구팀은 기존의 혈당 측정 방식은 침습적인 채혈이 필요해 환자에게 고통과 거부감을 줄 수 있어 충분한 당뇨 관리에 어려움이 있다고 판단해 새로운 포도당 측정 방식을 연구했다. 그 결과 포도당의 농도에 따라 반사되는 빛의 색깔이 달라지는 나노 입자를 함유한 콘택트렌즈를 만들었다. 눈물과 반응한 콘택트렌즈의 파장 변화를 광학적으로 분석하면 포도당 농도를 알 수 있다.

연구팀은 "정상 쥐와 당뇨 쥐를 비교하는 실험을 통해 해당 측정 장비의 타당성을 검증했다"고 설명했다.

정 교수는 "이번 성과는 새로운 광학적 방식으로 눈물 속 포도당 농도를 측정하고 이를 통해 혈액 내 포도당 농도를 예측할 수 있음을 보여줬다"며 "기존의 침습적 측정 방식을 대체할 수 있는 비침습적 포도당 측정 방식이 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고 했다.

이번 연구결과는 국제 학술지 사이언티픽 리포트(Scientific Report)에 19일자로 게재됐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