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면역세포치료제] 테마가 강세다. 전일 대비 2.13% 상승세이다. 제넥신(095700)+6.24%, 신라젠(215600)+6.07%, 큐리언트(115180)+5.08% 등이 테마 상승을 이끌고 있다.

테마 설명

면역세포를 치료에 직접 사용하며, 환자의 면역체계를 활성화시킨다는 점에서 주목받고 있음.
특히 암과 면역질환의 치료에서 혁신적인 효과를 보여주고 있으며, 부작용 측면에서도 기존 항암 요법 대비 우수한 것으로 평가되고 있음.
기존 항암요법의 경우 표적 항암제라 하더라도 체내에서 반감기가 짧아 지속적인 치료가 필요하고, 수명 연장 효과가 제한적이라는 단점이 있었음.
그러나 면역요법인 CAR-T 세포치료는 혈액암의 경우 암세포를 완전히 소멸시키는 능력으로 완치 판정 가능성을 높이는 혁신적인 결과를 보여줌.
또한 면역세포치료제는 기존 화학요법이나 항체 의약품에 비해 암세포에 특이적으로 작용하여 암세포만 공격하고 암세포가 아닌 정상 세포를 공격하는 경우가 드물기 때문에, 항암 치료의 부작용을 대폭 완화시킬 것으로 기대.
최초로 FDA에서 허가된 면역세포치료제인 수지상세포 치료제의 경우 혁신적인 작용 기전으로 주목받았으나, 높은 치료 비용 부담 등으로 판매가 저조했음.
현재 면역세포 연구는 T세포, NK세포 등을 중심으로 전개되고 있는데, 외부 유전자 조작을 통해 T세포(혹은 NK세포)를 변형시키고 이 세포를 체내애 재투여하는 유전자 조작 세포치료제가 주로 개발되고 있음.
면역세포치료제 중 가장 임상적으로 활발한 연구가 진행되고 있는 CAR-T 치료제, CAR-T는 T세포의 자기세포 인지기능을 보완한 세포치료제, 다만 높은 효과만큼이나 부작용도 제기되고 있음.
한편 정부는 바이오헬스 산업을 2030년까지 5대 수출 주력산업으로 육성하겠다고 밝힘. 이를 위해 정부 연구·개발을 2025년까지 연간 4조원 이상으로 확대하고, 스케일업 전용 펀드를 통해 향후 5년간 2조원 이상을 바이오헬스 분야에 투자하겠다고 덧붙임. 또한 면역세포를 활용한 표적항암제 등 차세대 기술개발을 위해 연간 2조6천억원 수준인 정부의 R&D 투자를 오는 2025년까지 4조원 이상으로 늘리기로 함(2019.05.22).
(마지막 업데이트 2020.03.05)

※ 토픽은 종목 추천이 아닌 정보 제공을 목적으로 함. 상기 종목의 투자로 인한 책임은 투자자 본인에게 있음.

관련 종목

면역세포치료제 테마 차트

3개월 등락률 +21.18%
1개월 등락률 +29.14%
1주 등락률 +0.68%

[이 기사는 증권플러스(두나무)가 자체 개발한 로봇 기자인 'C-Biz봇'이 실시간으로 작성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