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소벤처기업부가 신종 코로나 바이러스감염증(코로나19)으로 어려움을 겪는 스타트업과 벤처기업을 돕기 위해 2조원대 규모의 자금 지원에 나선다.

박영선 중소벤처기업부 장관.

중기부는 8일 청와대에서 열린 제4차 비상경제회의에서 이같은 내용을 담은 '스타트업·벤처기업 지원방안'을 보고했다고 밝혔다.

이번 지원방안에 따르면 중기부는 총 2조2000억원의 예산을 스타트업과 벤처기업 자금 지원을 위해 배정했다.

우선 중기부는 스타트업 자금난 완화를 위해 창업기업 전용자금으로 5000억원 증액, 기존 1조6000억원에서 2조1000억원으로 자금 규모를 늘린다. 또 창업기업의 기술사업성 평가항목을 29개에서 15개로 줄여 자금 지원 속도를 높인다.

중기부는 신한은행과 협력해 유망 스타트업을 대상으로 총 2000억원 규모의 저금리 특별 자금 대출을 지원한다. 기업당 대출 한도는 2억원이고 금리는 연 1.87% 수준이다. 이밖에도 기술보증재단을 통해 재무여건이 취약한 스타트업의 특성을 고려해 기존 보증과 상관없이 지원을 받을 수 있는 특례보증도 지원한다. 총 4000억원 규모다. 향후 1년간 고용유지를 약속하는 스타트업과 벤처기업은 최대 3억원까지 보증 지원을 받을 수 있다.

중기부는 벤처 투자펀드 조성에도 자금을 지원한다. 중기부는 정부자금이 투입된 펀드들의 투자 규모를 기존 3조원에서 1조원을 증액한 4조원 규모로 확대할 계획이다.

중기부는 벤처펀드에 패스트 클로징(Fast-Closing) 제도 도입도 추진한다. 원래 벤처펀드는 약정된 자금이 100% 모여야 기업에 대한 투자를 시작할 수 있지만 올해만 한시적으로 70% 이상 자금이 모이면 바로 투자를 시작할 수 있도록 한다는 것이다.

중기부는 또 2022년까지 유니콘 기업으로 도약이 가능한 예비 유니콘(기업가치 1000억원 이상) 기업 100개를 선정해 최대 100억원까지 특례보증을 지원하고, 대규모 투자유치 기회를 제공할 계획이다.

박영선 장관은 "올해 중 약 8400개 스타트업·벤처기업에게 총 2조2000억원의 자금을 추가 공급해 자금 부족의 숨통을 틔워주겠다"면서 "스타트업과 벤처기업이 디지털 신경제의 주역이 되도록 정부가 징검다리 역할을 하겠다"고 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