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부는 7일 코로나 바이러스 감염증 자가격리자 위치 추적용 전자팔찌(손목밴드) 도입 검토와 관련해 "현재 논의 되고 있는 여러 방안 중 하나"라고 밝혔다.

윤태호 중앙사고수습본부 방역총괄반장.

윤태호 중앙사고수습본부 방역총괄반장은 이날 정례브리핑에서 "자가격리자 숫자가 많아지면서 관리 강화 방안들이 모색되고 있다"며 "일부 이탈이 발생하고 있는 것에 대해 예방에 대한 다양한 수단을 정부 차원에서 고민할 수밖에 없는 것이 현실"이라고 밝혔다.

이어 윤 방역총괄반장은 "여러 방안의 하나로 손목밴드를 고민하는 부분이 있다"며 "현재 자가격리자는 앱을 설치해 격리지(地)를 벗어날 경우에는 경고를 통해 이탈을 막고 있는데, 핸드폰을 두고 나가거나 위치 정보를 끄는 등의 문제가 발생하는 것에 따른 여러 대책들이 필요하다"고 했다.

윤 방역총괄반장은 "그 대책들은 수시 통화를 통해 위치를 확인하거나, 불시에 집을 방문해 격리생활을 잘 지키는지에 대한 확인도 같이 이뤄질 수 있다"며 "손목밴드를 통한 확인도 있을 수 있어 정부는 종합적으로 검토해서 가장 실효성 있고 빨리 적용할 수 있는 방안을 논의해 효과적인 방안을 마련할 것"이라고 했다.

중대본에 따르면 전날 오후 6시를 기준으로 국내 자가격리자는 총 4만 6566명이다. 이 가운데 국내 감염자로 인한 자가격리자는 8142명, 해외입국 자가격리자는 3만 8424명이다. 현재 코로나와 관련해 감염병 예방법이나 검역법 위반으로 사법처리 절차를 밟고 있는 사례는 67건, 75명이다. 이 가운데 6명이 기소의견으로 검찰에 송치됐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