코로나19 검진 준비하는 의료진.

구충제 ‘이버멕틴’이 우한 코로나 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바이러스를 사멸시키는 데 효과가 있다는 연구결과가 나왔다.

호주 모니쉬(Monash)대학 생의학발견연구소(Biomedicine Discovery Institute)의 카일리 왜그스태프 박사는 세포 배양된 코로나19 바이러스가 이버멕틴(Ivermectin)에 노출되자 48시간 안에 모든 유전물질이 소멸됐다는 실험 결과를 발표했다고 사이언스 데일리, 뉴스위크 등이 4일(현지 시각) 보도했다.

호주 멜버른 모니쉬 대학 연구팀은 이같은 내용의 연구 결과를 2일 학술지 ‘항바이러스 연구(Antiviral Research)’를 통해 발표했다.

연구팀은 코로나19를 일으키는 신종코로나 바이러스가 이버멕틴에 복제가 억제되는 것을 발견했다.

연구팀 리더인 카일리 워그스태프 박사는 "이버멕틴은 안전한 구충제로 널리 사용돼왔다. 인간에게 적정한 복용량이 얼마인지 확인하는 것이 다음 단계"라고 설명했다.

워그스태프 박사는 "단 한 알만 복용해도 바이러스의 RNA를 24시간 안에는 그 수가 크게 줄었으며, 48시간 안에 없애는 것을 확인했다"고 말했다.

이버멕틴이 바이러스를 죽이는 구체적인 기전은 확인되지 않았다. 다만 이 약물이 다른 바이러스에 작용하는 메커니즘을 보면 바이러스가 숙주 세포의 방어력을 약화시키지 못하게 차단한다고 워그스태프 박사는 설명했다.

이 약물이 사람에게 사용하기 적합한지, 적절 복용량은 얼마인지에 대한 추가 연구에는 상당한 시간이 소요될 것으로 보인다.

한편 이버멕틴은 세계 각국에서 광범위하게 사용되는 구충제다. 심상사상충, 회충, 구충 같은 장내 기생충과 벼룩 등 체외 기생충에도 강력히 효과를 보이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우리나라에서는 모낭충을 제거하는 효과를 이용해 안면홍조를 일으키는 염증성 주사를 치료하는 외용제가 허가돼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