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재인 대통령이 30일 청와대에서 코로나19 관련 제3차 비상경제회의를 하고 있다.

문재인 대통령이 30일 우한 코로나 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사태에 따른 경제 위기 대응을 위해 소득 하위 70% 국민들에게 최대 100만원을 지급하기로 발표한 긴급재난지원금과 관련, "4월 총선 직후 국회에서 추가경정예산(추경)안이 통과되면, 5월 중순 전후로 실제 지급될 수 있도록 최선을 다할 것"이라고 말했다고 청와대가 전했다.

문 대통령은 이날 오전 비상경제회의에서 "긴급재난지원금이 신속히 집행되도록 정부는 뼈를 깎는 세출 구조조정을 통해 2차 추경을 조속히 해야 한다"며 이렇게 말했다고 강민석 청와대 대변인이 서면브리핑을 통해 밝혔다.

이에 대해 청와대 핵심관계자는 "4월 총선 직후 원포인트 국회를 열어 추경안을 통과시킨다면 5월중에는 긴급재난지원금이 실제 국민에게 지급될 수 있도록 최선을 다하겠다는 것"이라고 했다.

문 대통령은 또 경제팀에 "1, 2차 비상경제회의에서 언론·국민의 예상을 넘어서는 과감함이 있었다"며 "코로나 방역 신뢰에 이어 경제 정책에 대한 신뢰로 이어져야 한다"고 했다. 이어 "경제위기 극복의 핵심은 고용과 일자리"라면서 "긴급재난지원금 외에 지자체가 고용 사업을 강화하도록 하라"고 했다. 그러면서 "전통적 특수고용직 노동자 외에 플랫폼 노동자들 등 새로운 노동자들이 정책 대상에 편입돼야 하는 만큼 (이들을) 최대한 망라할 수 있도록 추가 사각 지대 파악에 노력해 달라"고도 했다.

청와대 관계자는 이날 문 대통령이 언급한 긴급재난지원금에 대해 "대통령의 결단"이라면서 "국내외 경제상황과 국민수용도, 지자체 역할 등을 감안한 판단"이라고 했다. 그러면서 "재난기본소득에서 출발해 긴급재난지원금을 결정하기까지 지자체 역할이 상당히 컸다"고 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