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내에서 플라스틱의 대명사 페트병을 의약품 원료 등으로 재탄생시키는 기술을 개발했다. 페트병의 주성분인 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PET)를 화학적으로 분해하고, 생물학적으로 전환해 유용한 소재로 바꾸는 기술이다.

PET의 분해 및 전환 과정.

한국화학연구원 김희택·주정찬·차현길 박사팀, 고려대 김경헌 교수팀, 이화여대 박시재 교수팀은 공동으로 PET를 의약품과 플라스틱 원료 등으로 전환하는 데 성공했다고 24일 밝혔다.

연구진은 물을 이용해 PET를 단량체(단위 분자)로 친환경적으로 분해하고, 이를 미생물을 이용해 유용한 소재들로 전환하는 전략을 설계했다. PET를 마이크로웨이브 반응기에서 230℃ 조건으로 물과 반응시킨 것이다.

이 물 분해로 테레프탈산과 에틸렌글리콜이 발생했다. 수율은 99.9%이다. 연구진은 이 테레프탈산과 에틸렌글리콜을 다시 미생물을 이용해 유용한 소재로 전환했다.

테레프탈산은 갈산(92.5%), 카테콜(90.1%), 피로갈롤(20.8%), 뮤콘산(85.4%), 바닐락산(29.4%)이 되고 에틸렌글리콜은 글라이콜산(98.6%)으로 바꼈다.

갈산과 뮤콘산, 바닐락산, 피로갈롤, 글라이콜산 등은 의약품과 플라스틱 원료, 방향 성분에 사용되는 물질이다. 대표적으로 갈산은 의약품(항산화제) 중간체, 뮤콘산은 플라스틱 단량체, 바닐락산은 의약 및 화장품용 방향 성분으로 쓰인다.

김희택 화학연 박사는 "기존에 폐기물로 취급됐던 폐플라스틱의 원료화 및 소재화 기술의 실마리를 제공한 것"으로 "향후 PET를 포함한 폐플라스틱 자원화 및 소재화 기술 개발이 이번 연구개발을 바탕으로 활발히 진행될 것으로 기대한다"고 설명했다.

이번 연구결과는 미국화학회에서 발간하는 국제학술지인 ‘ACS Sustainable Chemistry & Engineering(지속 가능 화학 및 공학)(IF:6.97)’ 12월호에 게재됐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