콘크리트 외벽의 공극 발생 등 부실 건설 논란을 빚은 한빛 원전 3·4호기의 수리 비용을 시공사인 현대건설이 대기로 했다. 당초 하자보수기간이 만료돼 법적으로 전액 책임을 묻기 어려웠던 문제가 풀릴 기미다.

정재훈 한국수력원자력 사장.

국회 과학기술방송통신위원회 소속 김종훈 의원(민중당)은 7일 한수원 국감에서 "현대건설이 한빛 3·4호기 점검 보수 비용을 지원하기로 밝힌 것으로 알려졌다"며 "사실이 맞다면 법적 효력이 있도록 확인을 받아야 할 것"이라고 말했다.

노웅래 국회 과방위원장에 따르면 현대건설은 지난달 26일 국회를 방문해 하자보수에 대한 책임을 지겠다고 의사를 밝힌 상태다. 노 위원장은 "현대건설 부사장이 하자보수기간과 상관없이 국민 안전에 대해 무한 책임지는 자세로 보수하겠다고 약속한 바 있다"고 했다.

한빛 3·4호기는 격납건물 콘크리트벽에 구멍이 발생하고, 내부 철판(CLP) 부식이 빈번하게 나타나 부실 시공 의심이 제기된 바 있다. 3·4호기에서 발견된 공극만 245개에 이른다. CLP 부식은 3호기 3건, 4호기 120건 수준이다.

앞서 원전 전문가들은 공극이 한빛 원전에서만 집중적으로 나타난 이유에 대해 콘크리트 타설 부실, 건설기간(工期)을 단축하기 위해 보강재를 제거하지 않은 설계 변경을 주된 원인이라고 지적하기도 했다.

이에 따라 한빛 3·4호기에 들어갈 것으로 예상되는 비용은 500억~600억원 규모다. 그러나 시공사 현대건설의의 하자보수기간이 만료돼 한수원이 해당 비용을 모두 부담해야 했다.

정재훈 한수원 사장은 "현대건설 측과 사실을 확인하고, 필요하다면 법적 구속력을 갖는 문건을 확보하도록 하겠다"며 "혹시라도 사전 조율이 필요한 부분이 있다면 그렇게 하도록 하겠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