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부와 더불어민주당은 10일 국회 의원회관에서 당·정 협의를 개최하고 ‘소상공인 자생력 강화 대책’을 발표했다.

정부와 더불어민주당은 10일 당·정 협의를 개최하고 ‘소상공인 자생력 강화 대책’을 발표했다. 정부는 이번 대책은 온라인 중심의 유통 환경 변화에 대한 대응 역량 강화와 함께 골목상권 활력 제고, 소상공인의 경영여건 개선 추진에 중점을 뒀다고 밝혔다.

정부는 소상공인의 온라인 역량과 상품성을 진단, 수준에 따라 맞춤형 온라인 사업화를 지원할 계획이다. 온라인 활용 역량이 부족한 소상공인의 경우 전담 판매 전문가를 연결해 상품성을 개선하고 온라인 사업 컨설팅 교육을 진행한다. 또 소상공인이 직접 또는 유튜버 등 1인 크리에이터와 협업해 제품을 홍보·판매할 수 있는 ‘1인 소상공인 미디어 플랫폼’도 구축한다.

고객이 스마트 오더로 계산하고, 스마트 미러를 통해 옷을 가상으로 입어볼 수 있는 다양한 플랫폼을 적용한 ‘스마트 상점 사업’도 신설했다. 정부는 내년까지 총 1100개 소상공인 사업장을 스마트 상점으로 바꿀 계획이다.

‘명문소공인 제도’를 도입해 소상공인이 보유한 숙련 기술 계승도 지원한다. 명문소상공인은 15년 이상 경영을 한 장인정신을 가진 소상공인 또는 보존 가치가 있는 근간 기술, 기능을 보유한 소상공인을 말한다.

골목상권 강화에도 나선다. 정부는 온누리상품권 등 골목상권 전용 상품권을 올해 4조5000억원에서 내년 5조5000억원으로 확대할 계획이다. 문화·콘텐츠·디자인이 어우러진 상권 조성을 위해 ‘상권 르네상스 사업’을 확대 개편하고, 전통시장의 관광 자원화를 위해 지역 관광지, 축제 등과 연계한 다양한 시장 투어 상품도 개발한다.

5조원의 특례보증을 통해 25만 소상공인 사업체에 추가 자금을 공급해 저신용 소상공인의 금융 접근성도 높인다. 사업성은 우수하나 낮은 신용등급으로 고금리 대출에 내몰릴 수 있는 소상공인을 위한 저신용 전용자금 지원도 확대한다.

박영선 중소벤처기업부 장관은 "온라인·스마트화 등이 소상공인 경영 현장에 원활히 접목될 수 있도록 정부가 적극 지원해 나가겠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