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말까지 연인원 1700명 투입해 24시간 모니터링, 출동 대기 등 긴급 대응 체계 강화

KT는 ‘제13호 태풍 링링’ 북상에 따라 ‘재해대비 종합상황실’을 마련하고, 통신재난에 대비한 비상운용체계에 돌입했다고 6일 밝혔다.

KT는 이날부터 과천 네트워크관제센터에 ‘13호 태풍 링링 재해대비 종합상황실’을 마련해 비상운용체계를 가동하고, 전국 재해대책상황실을 함께 운영하며 실시간으로 기상정보를 파악하고 있다.

또한 태풍 링링의 영향권으로 예측되는 주말까지 전국적으로 연인원 1700명을 투입해 24시간 실시간 모니터링 및 비상 출동 대기 인력을 보강하고, 통신시설 피해 발생시 긴급 대응 체계를 강화해 통신서비스 영향을 최소화 한다는 방침이다.

이번 태풍의 예상 경로에 따르면 서해안을 따라 북상하며 내륙에 상륙하기까지 지속적으로 강한 비바람을 동반할 것으로 예측되고 있어 수도권을 포함한 전국적인 피해가 예상된다.

KT는 집중호우에 따른 통신시설 침수를 예방하기 위해 전국 취약시설에 대한 사전 점검과 보강을 실시하고, 피해 발생시를 대비한 긴급복구를 위한 물자를 확보하고 전진배치 하는 등 차질 없는 통신서비스를 위한 준비를 마쳤다. 또한, 태풍의 영향으로 발생할 수 있는 대규모 정전 상황에도 대비해 비상발전기, 발전차 등을 일제히 정비하고 비상 복구 체계 점검을 마쳤다.

KT 네트워크부문 직원들이 ‘13호 태풍 링링 재해대비 종합상황실’에서 태풍의 진로를 살피며 각 지역의 통신 상황을 모니터링 하고 있다.

아울러 KT는 태풍으로 인한 피해가 발생할 경우 4단계의 통신재난 대응체계에 따라 신속한 피해 대응과 시설 복구를 추진하고, 향후 피해 발생 규모에 따라 추가 인력을 투입할 예정이다.

지정용 KT 네트워크운용본부장(상무)는 "13호 태풍 링링 움직임에 따라 실시간 모니터링과 비상 대응체계를 강화하고, 통신서비스에 영향이 없도록 최선을 다할 것"이라고 말했다.

LG유플러스도 ‘제13호 태풍 링링’에 대비해 종합상황실을 마련하고, 네트워크 피해 등 통신재난에 대비한 비상근무 체계에 돌입했다고 밝혔다.

LG유플러스는 마곡 사옥에 네트워크관제 종합상황실을 마련하고 통신망 재난 재해에 대비해 비상 운영 체계를 가동했다. 종합상황실에서는 전국 통신망을 24시간 실시간 모니터링하면서 만일의 사태에 대비해 재난 현장 출동 인력이 대기한다.

특히 태풍의 영향이 최고조에 달할 것으로 예상되는 주말에는 네트워크 현장 직원(연인원) 1500명을 투입, 통신시설 피해 발생 시 긴급 대응 체계를 가동해 피해 설비를 신속하게 복구할 예정이다.

LG유플러스는 강풍과 집중호우에 따른 정전, 침수 등의 피해를 예방하기 위해 주요 통신시설의 사전 점검을 완료했으며, 피해 발생 시 긴급 대응 및 복구를 위한 긴급복구 물자 및 비상발전기 등의 준비도 마쳤다.

한편 LG유플러스는 국가 재난재해 분류 기준에 따라 대형 재난재해가 발생했다고 판단될 경우 피해지역 긴급구호 물자 제공과 함께 긴급충전 서비스 등의 현장 지원활동도 병행한다는 방침이다.

SK텔레콤도 지난 6일부터 태풍 링링에 대비해 원활한 통신 서비스 및 신속한 피해 복구를 위해 비상 대응 체계에 돌입했다.

강풍과 집중호우에 피해가 예상되는 지역을 대상으로 각 지역별로 통신 시설 안전 점검을 실시 완료했다. 또, 이동발전차량, 발전기 등 긴급복구 물자를 사전 확보 및 점검해 신속한 복구 조치를 취할 예정이다.

아울러 SK텔레콤은 6일 오전 9시부터 한반도가 태풍의 영향권에서 벗어날 때까지 비상 상황실을 운영할 계획이다. SK텔레콤은 비상 상황실에 약 2000명의 네트워크 전문 인력을 투입해 24시간 모니터링 및 실시간 현장 대응에 나설 방침이다.

SK텔레콤은 "재난 상황을 원스톱으로 확인할 수 있는 '재난 관리시스템'을 운영해 재난 발생 시 신속하고 정확한 상황 파악과 현장 조치를 시행할 것"이라고 밝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