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형마트업계 1위인 이마트(139480)가 올해 2분기(4~6월) 적자전환했다. 1993년 서울 창동에 1호점을 낸 후 창립 26년 만에 처음으로 분기실적 적자를 기록했다.

이마트는 2분기 연결기준 영업손실이 299억원을 기록했다고 9일 공시했다. 지난해 2분기에 비해 영업이익이 832억원 줄어든 수준이다.

같은 기간 매출액은 14.8% 증가한 4조 5810억원을 기록했고, 당기순손실도 266억원으로 적자전환했다.

이마트의 실적부진은 할인점이 가장 큰 원인이다. 기존점이 4.6% 역신장하면서, 할인점에서만 영업손실이 43억원 발생했다.

노브랜드·일렉트로마트 등 전문점 등은 양호한 실적을 보였지만, 헬스앤뷰티(H&B) 스토어인 부츠, 삐에로쑈핑 등에서 적자가 확대됐다. 전문점 부문 영업손실은 188억원을 기록했다.

창고형 매장인 트레이더스는 지난해 2분기에 비해 매출이 23% 증가했다. 2분기 영업이익은 143억원을 기록했으나, 전년 같은기간 대비 17억원이 감소했다.

신세계푸드(031440)와 에브리데이, 이마트24 등은 영업이익이 소폭 증가했으나, SSG닷컴(-113억원), 조선호텔(-56억원), 굿푸드홀딩스(-5억원) 등은 2분기 영업적자를 기록했다.

이마트 측은 하반기에는 신선식품 중심으로 경쟁력을 회복하겠다는 계획이다. 신선식품과 가공·생활용품의 경우 가격·품질에서 우월성을 확보하고, 간편형 밀키트 상품 확대 등을 통해 경쟁력을 회복한다는 방침이다.

또 전문점에 있어서도 선택과 집중을 통해 성장하겠다는 계획이다. 이마트는 상반기 부츠, 삐에로쑈핑 등 12개점을 폐점했으며, 올해까지 총 33곳의 문을 닫을 예정이다. 이외에도 오프라인 구조 개편을 통해 경쟁력을 회복한다는 계획을 내놨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