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의선 현대차그룹 총괄 수석부회장이 조코 위도도 인도네시아 대통령을 만나 현지시장 진출을 위한 협력방안 등에 대해 논의했다.

정의선 현대차그룹 총괄 수석부회장이 조코 위도도 인도네시아 대통령과 만나 악수하고 있다.

현대차그룹은 동남아시아 시장 점검을 위해 출장 중인 정 부회장이 25일 오전(현지시각) 인도네시아 자카르타 대통령궁에서 조코 위도도 대통령과 면담했다고 밝혔다. 이날 면담에는 아이르 랑가 인도네시아 산업부 장관과 토마스 램봉 투자조정청장 등 주요 경제분야 장관들도 참석했다.

조코 위도도 대통령은 "현대자동차는 가장 진취적인 회사로 글로벌 시장에서 성공을 거뒀다"며 "인도네시아에서도 적극적인 투자에 나서 꼭 성공해 달라"고 당부했다. 이어 "인도네시아 시장에서 현대차가 성공하기 위해 아낌없는 지원을 하겠다"며 "향후 한국을 찾을 때 현대차도 방문하고 싶다"고 덧붙였다.

정 부회장은 "인도네시아는 매우 도전적인 시장이고 시장진출 해답을 찾기가 쉽지 않은 곳"이라며 "대통령과 인도네시아 정부의 관심이 현대차가 이 곳 시장에 진출하는데 큰 힘이 될 것"이라고 화답했다.

그는 "단순한 판매 확대보다는 고객이 진정 좋아하는 제품, 판매방식 등에서의 혁신을 모색하고 미래 기술도 과감히 접목시키는 방안도 구상하겠다"고 전했다.

정 부회장은 대통령 면담 직후 공기업부 장관, 해양조정부 장관 등 인도네시아의 주요 부문 장관과 시장 관계자들도 별도로 만나 상호 협력에 대한 의견을 교환했다. 그는 이어 현대·기아차 아태권역본부를 찾아 업무보고를 받고 동남아시아 지역 진출 확대를 위한 구체적 방안 등에 대해서도 논의했다.

인도네시아 정부는 '메이킹 인도네시아 4.0 로드맵'에 따라 자동차 분야를 중심으로 5대 제조업 육성 정책을 펼치고 있으며, 지난 5월 재선에 성공한 조코 위도도 대통령은 글로벌 기업 대상으로 적극적인 투자 유치에 나서고 있다.

인도네시아는 동남아시아에서 가장 큰 자동차 시장이다. 지난해 자동차 시장 수요는 1047대 수준으로 전년 대비 4.4% 성장했다. 올해도 수요는 전년대비 4.4% 증가한 108만대에 이를 것으로 전망된다.

현대·기아차는 동남아시아 최대 호출형 차량공유업체인 그랩과 손잡고 싱가포르에서 시범 사업 중인 호출형 차량공유서비스를 인도네시아 등으로 확대할 계획이다. 또 현지 스타트업과의 협업도 적극 검토하고 있다.

현대차그룹은 자동차 분야 외에도 철도, 건설 등 다양한 분야에서 인도네시아 시장 진출을 추진하고 있다. 현대로템(064350)은 인도네시아에 첫번째 경전철을 제작해 공급했고 현대엔지니어링은 지난해 9월 인도네시아의 파트너사와 석유화학공장 증설과 터놈 수력발전사업 수주를 위한 양해각서(MOU)를 체결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