심방세동이 있는 노인의 경우 치매 발생 위험이 1.5배 더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연세대 세브란스병원 심장내과 정보영 교수와 단국대병원 심장혈관내과 김동민 교수,
차의과대학 분당차병원 심장내과 양필성 교수 연구팀은 60세 이상 노인에서 심방세동이 치매 발생 위험을 높인다고 24일 밝혔다.

심장이 불규칙하게 뛰는 심방세동은 흔한 부정맥으로 가슴이 답답하거나 어지럽고 숨이 차는 증상을 보인다. 혈액흐름이 불규칙해 생긴 혈전(피떡)으로 뇌졸중 위험요인이다. 실제 심방세동은 뇌졸증 발생 위험이 5배 높고, 전체 뇌졸중 20%가 심방세동이 원인인 것으로 알려져 있다.

심방세동이 뇌에 미치는 영향 중 하나로 치매를 발생시킨다는 보고가 있지만 명확하게 밝혀지지 않았다. 특히 뇌경색 없는 상태에서 심방세동과 치매 연계성 관련 연구는 거의 이뤄지지 않은 실정이다.

연구팀은 2005~2012년 국민건강보험공단 노인자료를 통해 60세 이상 환자 26만2611명을 대상으로 심방세동이 발생한 환자(1만435명)와 심방세동이 발생하지 않은 환자(2만612명)로 분류해 치매 발생 위험도를 조사했다. 두 환자군에서 등록 당시 인지기능검사에서는 특별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7년 동안 추적관찰한 결과 심방세동 환자 중 약 2536명(24.3%)에서 치매가 발생했다.

심방세동이 없는 환자에서는 약 3174명(15.4%)에서 치매가 발생했다. 치매 발병 위험도가 1.5배 이상 높았다. 이런 위험성은 추적기간 중 뇌경색이 발생한 환자를 제외하고도 유의하게 나타나 뇌경색과는 별도로 심방세동이 치매 발생 위험성을 증가시키는 것으로 확인됐다.

치매 형태별로는 혈관성 치매가 2배, 알츠하이머 치매가 약 1.3배 발생 위험이 높은 것으로 조사됐다.

연구팀은 심방세동 환자에서 항응고치료가 치매 발생 위험을 낮출 수 있는지 추가 분석했다. 심방세동 환자 중 항응고치료를 시행한 환자 3092명(29.6%)과 그렇지 않은 환자를 비교한 결과 항응고제를 복용한 환자에서 모든 치매 발생 위험도가 약 40% 낮은 것으로 확인됐다. 알츠하이머 치매의 경우 50%로 조사됐으며, 혈관성 치매는 약 20%로 낮아졌다.

정보영 교수는 "심방세동이 치매 발생 위험인자인 만큼 적절한 고혈압 관리 등 심방세동을 예방하기 위한 노력과 함께 조기 진단을 통해 관리가 필요하다"면서 "심방세동 환자의 경우 뇌경색 뿐 아니라 치매 예방을 위해 항응고치료를 받는 것이 좋다"고 설명했다.

이번 연구 결과는 국제적 심장질환 학술지인 ‘유럽심장학회지(European Heart Journal, IF 23.425)’ 최신호에 게재됐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