네이버가 경기 용인시 기흥구 공세동에 추진하던 데이터센터 건립 계획을 전격 철회했다. 전자파로 인한 유해성을 우려하며 반대해온 인근 주민들의 반대 민원 때문으로 분석된다.

14일 용인시에 따르면 네이버는 전날 용인시에 '용인 공세 도시첨단산업단지 건립 추진 중단'이라는 제목의 공문을 보내왔다. 공문에서 네이버는 "공세동 데이터센터 건립 추진을 회사의 피치 못할 사정으로 중단하게 됐다"고 설명했다.

경기도 분당구 정자동에 위치한 네이버 그린팩토리.

이어 "지역과 함께 하는 좋은 모델을 만들고자 했으나 진행하지 못하게 된 점을 매우 유감스럽게 생각한다"며 "비록 사업이 중단됐지만, 앞으로 지역발전을 위한 다양한 협력모델을 고민하고 만들어 보도록 하겠다"라고 밝혔다.

네이버는 강원도 춘천 데이터센터에 이은 두 번째 데이터센터를 용인 공세동에 구축하겠다는 계획을 2017년 6월 언론에 공개한 뒤 그해 9월 용인시에 데이터센터 구축을 포함한 도시첨단산업단지 투자의향서를 제출했다. 완공 목표는 2023년이었다.

네이버 용인에 건립할 예정이었던 데이터센터의 규모는 부지 기준으로 약 13만2230㎡(4만평)로, 춘천 데이터센터의 2.5배에 달하는 것으로 전해졌다. 투자금액은 당초 4800억원에서 5400억원으로 늘었다.

그러나 센터 부지 인근 대주피오레2단지 아파트 주민과 공세초등학교 학부모들이 데이터센터 운영에 필요한 특고압 전기공급시설에서 발생하는 전자파와 비상발전시설·냉각탑 시설에서 나오는 오염물질이 주민건강에 위협을 줄 수 있다며 데이터센터 건립을 반대해왔다.

이들 주민은 지난해 5월 건립반대 비상대책위를 만들어 용인시와 네이버에 건립취소를 요구했다. 주민반대민원이 거세자 용인시는 지난달 산업입지 물량심의안건을 제출한 네이버에 주민들이 제기하는 유해성 의혹을 검토해 신청서류를 보완할 것을 통보했다.

용인시 관계자는 "네이버가 데이터센터를 다른 지역으로 이전할 것을 검토중인 것으로 알고 있다. 사실상 공세동 데이터센터 건립사업을 포기한 것으로 확인했다"라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