도매가격이 1㎏당 1만원에 달해 '금(金)징어'로 통하는 갑오징어를 양식으로 대량생산할 수 있는 기술이 개발됐다. 내년 가을쯤엔 시장에서 양식 갑오징어를 찾아볼 수 있게 될 전망이다.

해양수산부는 27일 "인공으로 부화한 갑오징어를 어미로 키운 뒤 이 어미로부터 다시 알(卵)을 받아 부화시키는 '전(全) 주기적 양식' 기술을 국내에서 처음 개발해 민간 업체와 현장 양식 시험에 착수했다"고 밝혔다.

27일 세종시 정부세종청사에서 해양수산부 직원이 양식으로 키운 갑오징어를 바라보고 있다.

갑오징어는 1980년대 중반엔 연간 약 6만t까지 잡혔지만, 무분별한 어획과 연안 환경 변화로 최근엔 연간 5000~6000t까지 어획량이 줄었다. 이에 국립수산과학원은 작년부터 갑오징어 양식 기술 개발에 나섰고, 가장 난도가 높은 '부화 직후 어린 갑오징어 초기 먹이'를 밝히는 데 성공했다. 부화 직후엔 동물성 플랑크톤을 먹고 큰다는 사실을 규명하면서 양식 기술 개발에 성공한 것이다.

이번 양식 기술 개발 성공은 양식 업체 수익 창출에도 크게 기여할 전망이다. 김도훈 부경대 교수의 경제성 분석에 따르면, 갑오징어를 1㏊ 규모에서 양식해 1㎏당 8000~1만원에 팔면 연 1억3000만원 이상의 수익이 날 것으로 예상된다. 갑오징어는 부화한 뒤 6~7개월 정도의 단기간에 출하 가능하다는 것도 장점이다. 과학원은 지난 5월 1일 전남 해남의 '대오수산'이란 민간 양식장에 어린 갑오징어와 알 등 5만여 개체를 넣고 대량양식 시험에 들어간 상태다. 과학원 관계자는 "이번 시험을 토대로 다른 민간 양식장에도 기술이전을 할 예정이며, 내년 가을쯤엔 양식 갑오징어 10~20t을 생산하는 것을 목표로 하고 있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