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달 중국 노동절 연휴 기간 국내 백화점을 방문한 유커(중국인 단체관광객)들의 쇼핑 목록이 달라졌다. 명품보다 여성패션 상품의 매출이 크게 늘었다. 백화점과 면세점에서 구매할 품목을 구분해 쇼핑을 하는 ‘스마트 유커’가 늘면서 생겨난 변화로 분석된다.

신세계백화점은 노동절 연휴가 시작된 지난달 27일부터 이달 2일까지 백화점 중국인 매출이 전년 동기 대비 31.8% 증가했다고 5일 밝혔다. 이는 올해 들어 가장 높은 수준이다.

이번 노동절 기간 유커들이 구매한 상품 중 가장 매출 신장률이 높은 분야는 여성패션이었다. 여성패션의 매출 신장률은 86%로 그동안 쇼핑목록 상위권을 지켜온 명품(43.3%)과 화장품(2.4%)을 제쳤다.

지난 2016년 신세계백화점을 찾은 유커들의 쇼핑목록 1순위는 명품이었고 화장품이 뒤를 이었다. 올해는 여성의류가 가장 높은 신장률을 기록했고 럭셔리 남성 장르도 처음으로 3위를 기록했다. 이번 노동절 기간 본점 남성전문관의 중국인 매출은 전년 대비 61.5% 성장했다.

이성환 신세계백화점 영업전략 담당은 "2016년을 기점으로 시내면세점이 늘며 유커들이 화장품은 가격 경쟁력이 높은 면세점에서 구매하고 여성·남성 의류는 보다 다양한 브랜드를 만날 수 있는 백화점에서 구매하는 경향이 높아지고 있다"고 말했다.

여성패션의 경우 한류 스타들의 패션에 관심을 갖는 사람들이 늘며 매출이 급증했다는 게 백화점 측의 설명이다. 3~4년 전까지만 해도 중국인들이 좋아하는 화려한 색상의 의류가 인기가 많았다면 최근에는 단순하면서도 세련된 감각을 내보일 수 있는 컨템포러리 패션이 각광받고 있다.

실제 이번 노동절 기간 여성패션 중에서 영 캐주얼 패션은 15% 신장한 반면 컨템포러리 의류는 90.6%의 매출 신장률을 기록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