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월 중소기업건강도지수(SBHI) 76.3, 1월보다 4.6p·전년 같은달보다 5.3p 하락

전산업·비제조업 2015년 2월 이래 최저, 제조업 2009년 3월 이후 최저

2월 중소기업경기전망지수가 2009년 금융위기 이후 가장 낮은 76.3으로 떨어졌다. 조사에 응한 중소기업들은 내수판매·수출·영업이익·자금사정 등을 비관적으로 내다봤다.

전산업과 비제조업은 2015년 2월 통계 작성 이후 가장 낮았고, 2002년부터 통계를 작성한 제조업은 금융위기 때인 2009년 3월(70.5) 이후 가장 낮은 수준을 기록했다.

중소기업중앙회(이하 중기중앙회)는 지난 15일부터 23일까지 3150개 중소기업을 대상으로 ‘2월 중소기업경기전망조사’를 실시한 결과 업황전망 중소기업건강도지수(SBHI)가 1월보다 4.6포인트(p), 전년 동월대비 5.3p 하락한 76.3으로 조사됐다고 29일 밝혔다.

중소기업건강도지수(SBHI: Small Business Health Index)는 응답내용을 5점 척도로 세분화하고 각 빈도에 가중치를 곱해 산출한 지수로, 100 이상이면 긍정적으로 응답한 업체가 그렇지 않을 것으로 보는 업체보다 더 많음을 나타내며, 100 미만이면 그 반대를 뜻한다.

중기중앙회는 경기부진이 지속하는 가운데 인건비 상승요인과 근로시간 단축 등의 악재가 겹치면서 중소기업의 경제심리가 극도로 위축된 것으로 분석했다.

업종별로는 제조업의 2월 경기전망이 전월보다 6.2p 하락한 75.1, 비제조업은 전월보다 3.7p 하락한 77.0다. 건설업은 4.5p 하락했고, 서비스업 역시 3.6p 하락하는 등 전 영역에서 부진한 것으로 조사됐다.

제조업에서는 ‘가죽가방 및 신발’(75.1→54.7), ‘인쇄 및 기록매체복제업’(87.4→73.8), ‘섬유제품’(75.7→62.6) 등 19개 업종에서 하락했다. 상승한 업종은 ‘전기장비’(77.8→83.3), ‘종이및종이제품’(74.1→76.6) 등 2개 업종에 불과했다.

비제조업에서는 건설업(80.9→76.4)과 서비스업(80.7→77.1)을 비롯해 ‘숙박및음식점업(73.5→67.3)’, ‘운수업(79.6→73.6)’ 등 6개 업종이 하락했다. 상승한 업종은 ‘예술·스포츠 및 여가관련서비스업(74.3→85.8)’, ‘출판·영상·방송통신및정보서비스업(86.0→92.0)’ 등 4개 업종이다.

내수판매전망(79.8→75.5), 수출전망(88.3→79.8), 영업이익전망(78.2→74.6), 자금사정전망(78.0→74.0)도 모든 하락했다. 고용수준전망(97.9→97.8)만 지난달과 비슷한 수준을 기록했지만 기준치인 100에는 미달했다.

중기중앙회 관계자는 "2019년 2월의 SBHI와 최근 1년 항목별 SBHI 평균치와 비교해보면 제조업과 비제조업 모두 경기전반·생산·내수·수출·영업이익·자금사정 등 모든 부문에서 악화돼 평균치를 크게 하회했다"며 "특히 제조업의 설비·재고·고용 전망이 모두 100 이상으로 높아져 경기부진으로 인해 과잉상태를 보이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고 말했다.

한편, 1월의 중소기업의 가장 큰 경영애로(복수응답)는 최저임금 인상으로 인한 ‘인건비 상승’(62.5%)이 꼽혔다. 이어 ‘내수부진’(62.4%), ‘업체간 과당경쟁’(37.7%), ‘원자재 가격상승’(22.2%) 순으로 나타났다.

업종별로는 제조업의 경우 ‘인건비 상승’(67.3%)을, 비제조업은 ‘내수부진’(62.3%)을 각각 가장 큰 경영상 어려움으로 응답해 제조업이 비제조업보다 인건비 상승에 대한 압박을 더 크게 느끼는 것으로 나타났다.

2018년 12월 중소제조업 평균가동률은 지난해 같은 달과 같았지만 전월보다는 0.1%p 하락 73.4%로 나타났다. 이 중 소기업은 전월대비 1.0%p 하락한 70.0%, 중기업은 0.6%p 하락한 76.7%로 조사됐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