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 수출기업들이 미·중 무역분쟁과 환율·원자재 가격 변동과 같은 국제 문제 대응에 어려움을 겪는 것으로 나타났다.

한국무역협회 국제무역연구원이 16일 발표한 '2019년 수출기업의 경영환경 전망 조사'에 따르면 무역업계는 올해 수출에 가장 큰 영향을 미칠 요인으로 '환율과 원자재 가격 변동(41.4%)', '글로벌 경쟁심화(19.6%)', '미중 무역분쟁(19.0%)', '주요국 금리 인상과 신흥국 경기불안(16.5%)' 등을 꼽았다. 협회는 연간 수출실적 50만 달러 이상 986개 기업들을 대상으로 설문을 진행했다.

그러나 대응 전략을 세웠다는 기업은 21.8%에 불과했다. 회사 규모가 작을 수록 이런 문제가 더욱 심했다. 대기업의 절반 이상(50.8%)은 주요 국제 문제에 대해 대응방안을 갖추고 있는 것으로 응답했으나 중견기업은 27.8%, 중소기업은 16.9%인 것으로 조사됐다.

우리 수출기업이 신규 수출시장으로 가장 선호하는 지역은 '신남방국가(25.6%)'였고 '유럽연합(16.6%)', '중남미(12.3%)' 등이 뒤를 이었다. 수출 확대를 위해서는 '해외 네트워크를 활용한 시장정보 제공(28.2%)', '신규바이어 확보를 위한 바이어매칭 서비스(24.7%)' 등을 가장 필요로 하는 것으로 드러났다.

이진형 무역협회 동향분석실 연구원은 "기업들은 설문에서 올해 수출증가율이 5% 미만에 그칠 것으로 전망했다"면서 "정부와 수출 지원 기관들은 신남방 지역을 중심으로 시장정보와 바이어매칭 서비스를 강화해야 한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