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공지능(AI)을 이용한 금융감독 시대가 다가오는 걸까.

금융감독원은 머신 리더블 레귤레이션(MRR) 시범사업에 나선다고 10일 밝혔다.

MRR은 금융사 IT시스템이 금융규제를 기계어로 이해하고 전산 데이터를 추출해 보고서를 작성한 뒤 금융당국에 스스로 제출하는 최첨단 시스템 개념이다. 예를 들어 금융사가 새로운 금융상품을 출시하기 위해 금융당국에 제출할 보고서를 작성할 때 사람이 일일이 규제를 확인해 수기로 작성하고 있다. MRR은 이같은 작업을 컴퓨터가 대신 수행해 인위적인 조작이나 오류 발생 가능성을 줄일 수 있다는 게 장점이다.

윤석헌 금감원장은 이날 서울 마포 소재 창업허브 별관 1층에서 '핀테크 타운홀 미팅-핀톡(FinTalk)' 행사를 열고 "국내 레그테크(Regulation과 Technology 합성어) 산업 활성화를 위해 아시아 최초로 MRR 시범사업에 나설 것"이라고 말했다.

금감원은 이달 중 전자금융거래법상 업무보고서 규정을 기계가 인식할 수 있는 언어로 변환하는 시범 사업을 벌인다. 이후 MRR 기능이 탑재된 표준 API(특별한 기술 없이 응용프로그램을 만들 수 있도록 지원하는 인터페이스 일종)를 금융회사에 제공할 계획이다. 이 시범사업이 성공적으로 마무리되면 이르면 내년 상반기쯤 금융회사 IT시스템이 자동으로 보고서를 작성할 수 있게 된다는 게 금감원의 설명이다.

금감원은 또 AI를 활용한 금융감독방식인 섭테크(Supervision과 Technology의 합성어)를 도입해 AI를 통한 약관 심사 시스템 및 금융감독 챗봇 시범 구축 등을 추진하기로 했다.

윤 원장은 "효율적이고 효과적인 감독 능력 배양을 위해 섭테크 도입도 적극 추진할 예정"이라며 "금융규제가 복잡·다기화되면서 핀테크 기업 및 금융사의 규제 준수 부담이 크게 증가하고 있는데, 컴퓨터 시스템이 스스로 금융규제를 인식하고 규제 준수 업무를 수행하는 파일럿 테스트를 올해 안에 착수할 것"이라고 말했다.

금감원은 AI가 보이스피싱 유형을 분석해 대응할 수 있는 알고리즘도 개발해 핀테크 스타트업 등에 무상으로 제공할 계획이다.

윤 원장은 "인공지능을 활용한 금융상품 약관 심사와 같이 섭테크를 활용하면 방대하고 난해한 금융정보와 서비스를 자동으로 신속·정확하게 분석할 수 있게 돼 금융소비자 보호 수준도 한층 강화될 것"이라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