5G 상용화가 1년도 채 남지 않았지만 이처럼 2G폰을 쓰는 사람은 245만명으로 여전히 많다. 이동통신 업자는 수익성이 낮고 유지비가 꾸준히 나가는 2G 서비스를 강제 종료하고 싶어 하지만, 소비자의 선택권·권리를 주장하는 2G 가입자와의 입장이 대립된 상태다.

LG의 2G폰 ‘와플’. 본 기사와 직접적 관련 없음.

27일 이동통신 업계의 자료를 보면 전체 이동통신 가입자 6384만명 중 2G 가입자는 246만명으로 3.8%를 차지하고 있다. SK텔레콤 138만명, LG유플러스 93만명, 알뜰폰 15만명이다. KT의 경우 2012년 LTE 주파수 대역 확보를 위해 2G 서비스 강제 종료를 하면서 2G 가입자가 없다.

2G 가입자는 매달 약 8만명씩 줄고 있으며 2G 주파수 할당이 종료되는 2021년 6월에는 100만명 미만이 될 것으로 전망되고 있다.

이처럼 2G 가입자가 줄고 있지만 소수의 2G 가입자 때문에 수억원의 2G 서비스 유지 비용을 내야하는 이동통신 업자 측은 막막하다는 입장이다.

SK텔레콤의 재무제표를 보면 2G 주파수 1년 이용 비용은 473억원이며 망 관리 비용·회선 유지 비용을 합치면 수천억원의 비용이 든다.

반면 2G 가입자들은 음성통화·문자만 이용해 이동통신 업체의 주 수입원인 데이터요금제에 가입돼 있지 않아, 수익성이 떨어져 해당 비용을 메꾸지 못한다는 게 이동통신 업계 설명이다.

이동통신 업계의 한 관계자는 “보통 2G 서비스를 쓰는 고객들은 보통 월 2만원 가량을 내고 100여분의 무료 음성통화를 이용하는데 음성통화에서 남는 수익은 거의 없다고 보면 된다”며 “이동통신 업체들의 주 수입원은 기본 4만원이 넘어가는 데이터요금제이기 때문에 음성통화·문자만 사용하는 2G 서비스 이용자가 많으면 유지 비용만 느는 셈이다”고 설명했다.

이에 이동통신 업자는 2G 가입자를 LTE나 기타 서비스로 옮겨 2G 가입자를 줄이는 전략을 내세우고 있다.

SK텔레콤은 재난 문자 수신이 불가능한 2G 가입자 59만명에게 휴대폰 교체를 지원하고 LG유플러스는 2G 가입자가 LTE로 바꿀 경우 월 요금 최대 1만원을 지원해준다.

이 같은 전략으로 2G 가입자가 10만명대 수준으로 줄어들게 되면 2G 서비스 강제 종료가 가능할 것으로 보고 있기 때문이다.

실제 KT의 경우 2011년 2G 가입자가 15만명으로 떨어져 방송통신위원회에게 내용 고지·가입자 전환 대응조치 같은 내용이 포함된 강제 종료 조건부 승인을 받기도 했다.

하지만 2G 가입자들은 소비자의 선택권과 권리를 내세우며 2G 서비스 강제 종료를 반대하는 입장이다. 대부분의 2G 가입자들은 휴대폰 앞 번호의 011이나 017 같은 번호를 유지하기 위해 2G 서비스를 이용하고 있기 때문이다. 3G나 LTE 서비스로 바꾸면 휴대폰 앞 번호가 010으로 바뀌기 때문에 이를 꺼려하는 것이다.

사업가 김수진(38)씨는 “15년간 사업을 하면서 많은 사람들과 이 번호로 연결해 왔다”며 “번호를 바꾸면 많은 혼란이 예상되고 강제로 번호를 바꾸게 하는 건 소비자의 권리를 무시하는 행위다”고 주장했다.

하지만 사기업의 서비스 지원을 강제로 유지시킬 근거가 부족하고 이동통신 업체에서 적극적으로 타 서비스로의 교체를 지원하는 만큼 2G 서비스는 결국 없어질 거란 게 업계의 공통된 의견이다.

이동통신 업계의 한 관계자는 “번호는 그대로 가져가게 하면서 소비자들의 선택권도 같이 합의하는 방향으로 나아가면 되겠지만 이미 010으로 전환한 고객들과의 형평성 논란도 있고 아직 어려운 상황이다”며 “하지만 이렇다 할 방책이 없는 한, 시간이 지나면 2G 서비스는 종료될 수밖에 없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