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내 최고층 빌딩이 될 현대자동차그룹의 신사옥 글로벌비즈니스센터(GBC) 신축 허가 일정이 9부 능선을 넘고 있다. 이달 말 서울시 환경영향평가 소위원회의 최종 결과가 나오고 다음달 국토교통부의 수도권정비실무위원회 심의를 통과하면 3월쯤 건축 허가를 받을 수 있을 것으로 예상된다.

현대차 GBC 조감도.

지하 7층~지상 105층(569m)짜리 국내 초고층 빌딩으로 지어질 GBC는 봉은사 일조권 침해 논란 등에 가로막혀 서울시 환경영향평가를 통과하지 못하고 사업 일정이 계속 늦춰지고 있다. 지난달에는 국방부로부터 비행안전영향평가와 전파영향평가 등을 받아야 한다는 의견이 나오면서 국토교통부의 수도권정비실무위원회가 한 차례 보류되기도 했다.

서울시에 따르면 이달 24일 GBC 신축 사업에서 논란이 된 봉은사 일조권 침해 부분과 지질, 온실가스에 대한 환경영형평가 소위원회가 열린다. 이번 소위원회에서는 기존 봉은사와 현대차가 아닌, 제3의 기관이 GBC의 일조권 침해 여부를 평가한 자료를 검토해 최종 심의 결과를 내놓는다.

환경영향평가는 연면적 10만㎡ 이상 건축물을 지을 때 해당 건축사업이 주민 생활환경과 주변 환경에 미치는 영향을 예측·평가하는 절차로, 이해 관계자들의 의견을 반영한 대책을 만들어야 한다.

GBC 인근에 있는 봉은사 측은 초고층 빌딩 건립으로 봉은사의 일조권이 침해돼 문화재가 훼손된다며 2016년부터 GBC 건립 저지에 나섰다. 현대차와 봉은사의 주장이 상반되는 만큼, 서울시는 현대차와 봉은사, 인근 일부 삼성동 주민들의 의견을 반영해 선정한 제3의 기관의 평가 결과를 심의에 반영하기로 했다. 봉은사 맞은편 빌라와 아파트 등 9가구도 GBC 건립으로 하루 4시간 이상 일조권이 침해 받는 것으로 조사돼, 이들도 평가업체 선정에 참여했다.

강남구 관계자는 “지난해 현대차가 서울에서 일조권 침해를 평가하는 업체 5곳을 뽑아와 봉은사와 삼성동 주민들의 입회 하에 업체 2곳을 무작위로 선정, 이 중 한곳을 최종 평가기관으로 뽑았다”며 “이달 초 서울시에 평가 결과를 제출한 상태”라고 말했다.

서울시 기후환경본부 관계자는 “24일 소위원회를 열고 기존 평가 자료와 비교 분석해 심의할 계획”이라면서 “이달 말 쯤이면 최종 결과가 나올 것으로 보인다”고 말했다.

현대차는 환경·교통영향평가 외에 국토교통부 산하 수도권정비심의위원회, 서울시 건축위원회 등 건축 인허가 심의를 통과해야 모든 절차를 마무리하고 GBC 착공에 들어갈 수 있다.

국토부 산하 수도권정비심의위원회는 한전 부지처럼 공공기관이 이전한 1만㎡ 종전 대지에 새로운 인구유발시설을 지을 때 거쳐야 하는 심의 절차다. 위원회는 현대차에 GBC가 건립되면 수도권 15곳에 흩어져 있던 기존 현대차 계열사 건물을 어떻게 활용할 것인지, 계열사 인구 이동과 인구 유발효과는 얼마나 될지 재분석하도록 지시한 것으로 알려졌다.

국방부가 초고층 건물이 들어섰을 때 전투비행과 레이더 이용 등에 미치는 영향을 검토해야 한다는 견해를 내놓았다. 서울시는 “수도방위사령부와 공군과는 협의했기 때문에 국방부 의견까지 들어야 하는지 몰랐다”며 필요하다면 국방부와도 협의 절차를 거치겠다고 밝혔다.

서울시 관계자는 “현대차로부터 추가 자료를 받아 다음달 수도권정비실무위원회 일정을 다시 잡을 것으로 보인다”며 “큰 문제가 없으면 2월이면 심의를 모두 통과할 수 있을 것”이라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