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일 오전 7시 30분 서울 여의도 국회의원회관 제9간담회의실. 송희경 의원(자유한국당)과 오세정 의원(국민의당) 공동 주최로 열린 '포털뉴스 이대로 좋은가' 토론회에는 이른 시간이었지만 준비한 좌석 50여석을 훌쩍 넘은 100명 이상의 방청객이 몰렸다. 토론장에서는 '네이버와 다음(카카오)의 막강한 뉴스 영향력에 걸맞은 규제가 필요하다'는 목소리가 쏟아져 나왔다. 송 의원은 "포털은 '뉴스 메이커'는 아니지만 '뉴스 에디터' 역할을 하면서 결과적으로 대한민국 뉴스의 컨트롤타워 기능을 하고 있다"고 지적했고, 오 의원은 "포털들이 말하는 '뉴스 알고리즘(전산 논리 체계)'에 대한 의구심이 많아 방향 점검이 필요하다"고 말했다.

이에 대해 논란의 당사자인 네이버와 카카오는 "앞으로 인공지능(AI) 적용을 확대해 뉴스 공정성 논란을 해소해 나가겠다"고 밝혔다.

네이버·다음 "기사 배치에 AI 알고리즘 확대할 것… 공정성 시비 억울"

유봉석 네이버 전무는 이날 "현재 네이버 모바일 메인 뉴스에서 편집자가 개입하는 영역은 20%에 불과하고, 편집자의 자의적 판단을 최소화하도록 유사한 뉴스끼리 묶는 '클러스터링' 알고리즘도 활용한다"며 "네이버 뉴스는 AI나 사용자가 직접 설정하는 형태로 바뀌고 있다"고 했다. 그러면서 "모바일 메인 화면은 1분 단위로 편집 이력을 공개하고 있고, 뉴스편집자문위원회까지 구성해 운영한다"며 정치권에서 집중 제기하는 '네이버 뉴스 조작 논란'에 대해 해명했다.

그러나 유 전무도 현재 방법의 한계를 인정했다. 그는 "앞으로 AI 알고리즘에 따라 뉴스를 100% 자동 배열하는 방안을 준비 중이지만, AI나 알고리즘이 완벽하게 중립적·객관적이라고 보기 어렵다"며 "뉴스 서비스 혁신을 위해 한성숙 대표 직속의 '뉴스 운영 혁신 프로젝트' 조직을 신설하고, 시민단체·학계·언론계 인사 등이 참여하는 '기사 배열 공론화 포럼'을 만들겠다"고 말했다.

이병선 카카오 부사장은 "다음은 자체 개발한 기사 추천 뉴스 알고리즘 '루빅스(RUBICS)'를 2015년부터 적용했으며, 앞으로 더 확대할 것"이라며 "10년 전부터 제기되는 포털 뉴스 공정성 시비에 네이버가 뉴스캐스트, 팩트체크, 뉴스제휴평가위원회 등 편집 권한을 줄이는 시도를 해왔지만 포털 뉴스의 공정성 논란은 더 커졌다"고 주장했다. 이 부사장은 "포털도 루빅스 적용 확대 등 자체적으로 뉴스를 편집할 충분한 능력과 수준을 갖췄다고 생각한다"며 "만약 국내 인터넷 기업의 언론 서비스를 규제한다면 그 수익은 구글이나 페이스북 등 외국계 기업 몫이 될 것"이라고 반박했다.

학계·시민단체·정부 관계자들 "알고리즘도 한계 명백… 포털 뉴스 서비스에 규제 필요"

시민단체·학계·정부 관계자로 구성된 토론자 8명 중 7명은 포털 뉴스 규제가 필요하다는 의견을 냈다. 손영준 국민대 교수는 "포털이 10년 전부터 자체 개선 방안을 반복해 내놨지만 해결된 것은 아무것도 없다"며 "포털이 뉴스 서비스를 포기할 수 없다면 언론사에 준하는 관리·감독과 규제를 받아야 한다"고 말했다. 한석현 YMCA 시민중계실 팀장은 "기계가 공정성 논란을 종식시킬 순 없다. 알고리즘만으로 공정성 논란이 해결되지 않으니 포털이 뉴스 서비스를 계속 해야 할지 근본적인 고민이 필요하다"고 했다. 김진곤 문화체육관광부 미디어정책국장도 "포털이 대한민국 전체 언론 편집권을 갖게 된 형국이니 포털의 기사 배열을 모니터링하는 법률상 장치가 필요하다"고 말했다.

김진욱 변호사는 "영화 '내부자들'에 나오는 메이저 신문사 주필의 역할을 네이버·카카오가 지금 하고 있다"며 "알고리즘에만 맡기다간 '이용자 맞춤형'이라는 명목으로 편향된 뉴스만 유통될 가능성이 크다"고 말했다. 정우현 한국신문협회 전략기획부장은 "포털에서 소비되는 콘텐츠의 90%는 신문 기사로 포털은 기사에 대한 대가인 전재료를 대폭 올려야 한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