빌 게이츠 마이크로소프트(MS) 창업자가 로봇을 사용하는 회사가 ‘로봇세’를 내야한다고 주장했다. 급격하게 진행되는 자동화가 발생시킬 실직사태의 속도를 늦추고 실직자를 지원하기 위한 재원을 마련하기 위해 필요하다는 의미다.

빌 게이츠 MS 창업자는 “로봇세를 거둬 사회 복지에 쓰일 수 있도록 해야한다”고 쿼츠와의 인터뷰를 통해 주장했다.

빌 게이츠는 17일(현지시간) 미국 온라인 매체 쿼츠(QUARTZ)와 인터뷰에서 “기술을 통해 노동이 사라진다고 해서 돈을 벌지 못하게 됐다는 의미는 아니기 때문에 소득세 수준의 세금을 로봇 사용자에게 부과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로봇 자동화로 인해 점차 인간의 일자리가 줄어들 것이란 우려 등의 기술에 대한 부정적 시각을 완화하기 위해 필요하다는 뜻이다. 자동화가 진행되며 로봇으로 발생한 소득에 세금을 부과하고 이를 사회복지로 환원시켜야 한다는 주장이다.

실제로 옥스퍼드 대학이 2013년 보고서를 보면 2023~2033년까지 인간 일자리 50%가 로봇으로 대체될 수 있다는 내용이 담겨있다. 2015년에 발표된 매켄지 보고서에는 현재 기술로도 사람의 일자리 중 45%를 대체할 수 있다는 주장도 있다.

빌 게이츠는 “로봇 사용자에게 과세를 통해 세금을 거두면 노인복지와 아동교육 등에 쓸 수 있다”며 “로봇 사용이 확대되면서 일자리를 잃은 사람들이 재교육을 받아 사회 복지나 아동 교육 등 분야에서 다시 일할 수 있도록 해 세금으로 임금을 줄 수 있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