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리 국민 다수는 한국 경제의 최대 문제점으로 '양극화'를 꼽고 있으며, 향후 지향해야 할 경제 모델로는 '저성장 해도 성장 과실을 고르게 나누는 나라'를 선호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조선일보와 한국경제연구원이 여론조사기관 리서치앤리서치에 의뢰해 최근 실시한 여론조사에서 '앞으로 한국 경제가 어떤 모습을 갖게 되기를 희망하나'는 질문에 응답자의 52.8%가 '저성장 해도 성장의 과실을 고르게 나누는 나라'를 꼽았다. 또 '경제가 축소되더라도 빈부 격차는 전혀 없는 나라'를 고른 응답자(29.9%)가 '빈부 격차가 커지지만 고성장하는 나라'를 원한다는 대답(14.7%)보다 2배 이상 많았다.

'기존 수출 대기업 주도 성장 모델이 유효하다고 생각하느냐'는 질문엔 61.1%가 '유효하지 않다'고 대답했고, 33.4%만이 '유효하다'고 답했다.

응답자들은 한국 경제의 가장 큰 문제점(2개 중복 응답)으로 양극화(44.9%)와 청년실업(43.4%)을 꼽았다. 또 가계 경제의 문제점으로는 과다한 부채(24.5%)와 교육비·주거비(22.5%)를 꼽았다. 내수(內需) 부진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서는 "대기업과 중소기업 간 임금 격차를 줄여야 한다"고 답한 사람이 가장 많았다(38%).

새해 정부 경제 정책 방향에 대해선 단기적인 '경기 부양'(24.2%)보단 '공정 경쟁 확립'(34.5%) 주문이 더 많았다. 이와 관련, 김광두 국가미래연구원장은 "경제는 민간이 자율적으로 하도록 맡기되, 정부는 공정한 사회를 만드는 일에만 집중하는 것으로 정부와 민간의 역할을 재정립할 필요가 있다"고 말했다.

이번 조사는 지난 22~25일 전국 19세 이상 800명을 대상으로 전화와 온라인 설문조사를 병행해서 실시했다. 표본을 성·연령·지역별 인구 비례 할당 표본 추출법으로 선정한 이번 조사에서 표본 오차는 95% 신뢰 수준에서 ±3.4%포인트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