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내 연구진이 청정환경에서 자라는 해조류인 감태에서 추출한 물질을 이용해 부작용 없는 아토피 피부염 치료제 개발 가능성을 제시했다.

미래창조과학부는 이주영 가톨릭대 교수(사진) 연구팀이 아토피 피부염을 유발하는 원인을 억제하는 물질을 해조류 감태에서 찾아냈다고 30일 밝혔다.

아토피성 피부염은 유소아에서 흔하게 찾아볼 수 있는 염증성 질환이다. 최근에는 환경오염, 생활습관의 변화, 유전적 영향 등에 의해 발병률이 늘고 있다. 아토피성 피부염 치료에는 일반적으로 항알레르기 작용을 하는 스테로이드제가 이용된다. 하지만 스테로이드제는 피부가 얇아지거나 혈관이 확장되는 부작용이 있는 게 단점이다.

이주영 교수 연구팀은 아토피성 피부염의 면역학적 원인에 주목했다. 아토피성 피부염을 포함한 알레르기 피부염은 Th1·Th2라는 세포의 특정 면역반응 균형이 깨지면서 생긴다.

Th1과 Th2는 세포 간의 신호 전달을 매개하는 단백질인 ‘사이토카인’을 생산하는데 Th1 세포는 면역 조절을, Th2 세포는 체액 조절을 담당한다. Th1이 생산하는 사이토카인이 활성화하면 감염에 대한 저항성이 늘어나지만 Th2의 사이토카인이 과도하게 활성화하면 감염 저항성이 줄어들어 알레르기 반응이 늘어난다.

연구팀은 이 때 피부의 상피세포에서 외부 자극에 반응해 발현하는 ‘흉선 기질상 림포포이에틴(TSLP)’이라는 물질이 Th2의 사이토카인 생산을 촉진한다는 사실을 알아냈다. 결국 TSLP의 발현을 억제하면 Th1·Th2 면역반응의 균형을 유지해 아토피성 피부염 원인을 제거할 수 있는 것이다.

연구팀은 다양한 실험을 통해 해조류 감태에서 추출한 ‘다이에콜’이라는 물질이 TSLP 생성을 억제하는 효과를 확인했다. 이 물질을 이용해 치료제를 개발하면 부작용 없이 아토피성 피부염을 치료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이주영 교수는 “제주도 등 청정 해역에서 자라는 해조류 감태에서 추출한 다이에콜이 아토피성 피부염 및 알레르기 질환 치료제가 될 수 있다는 가능성을 최초로 제시한 것”이라고 밝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