요즘 통신 분야 핫 이슈는 ‘5G(5세대 이동통신)’다. 통신 전문가가 아닌 일반인들도 꽤 자주 접하는 용어다. 그런데 5G가 무엇을 뜻하는지 물어보면 의외로 아는 사람이 드물다.

흔히 5G는 4세대(4G) 이동통신을 대표하는 LTE(롱텀에볼루션)보다 데이터 전송 속도가 1000배까지 빠른 기술을 말한다. 유엔(UN) 산하 국제전기통신연합(ITU)은 초당 20기가비트(Gbps)의 데이터 전송 속도를 5G의 충족 요건으로 정의하고 있다. 800메가바이트(MB) 용량인 두 시간짜리 영화 1편을 LTE 속도로 내려받으면 40초 정도 소요되지만, 5G 환경에서는 1초면 충분하다.

지난해 10월 경기도 성남 SK종합기술원에 있는 ‘5G 글로벌 혁신센터’에 방문한 사람들이 5G 기술을 적용한 ‘원격 협업 시스템’을 체험하고 있다.

데이터 전송 속도가 빨라졌다고 무조건 5G 시대가 시작됐다고 할 수 있는 건 아니다. 한국방송통신전파진흥원에 따르면 넓은 주파수 대역을 사용하기 위한 ‘고주파 대역 활용 기술’, 커버리지 영역 확대와 데이터 용량 증대를 위한 ‘이종망 간 네트워크 기술’, 다수의 송신 안테나를 이용한 ‘저전력 송신 기술’ 등을 두루 갖춰야 5G 시대로 넘어왔다고 할 수 있다.

전세계적으로 통용되는 5G 기술 표준은 현재 논의 중이다. ITU에서 5G 기술에 필요한 조건을 정하면 이동통신 기술 관련 국제 표준화기구인 ‘3GPP(3rd Generation Partnership Project)’가 세부 기술 규격을 결정하는 방식으로 5G 기술 표준화 작업이 진행된다. 통신업계 관계자들은 “현재 ITU와 3GPP에서 세부 규격 논의를 활발히 하고 있다”면서 “2020년쯤 되면 5G 기술이 상용화될 것”이라고 예상한다.

물론 5G 기술 표준이 마련됐다고 해서 사업자가 이를 무조건 따라야 하는 건 아니다. 하지만 전세계 대부분의 사업자가 표준에 따라 5G 제품과 서비스를 개발하고 있어 사실상 지켜야 하는 의무나 다름없다. 이 때문에 각국 정부와 민간기업들은 자신들이 제안한 표준이나 기술을 국제 표준에 반영시키기 위해 치열한 경쟁을 벌이고 있다. 자신들의 제안 사항이 국제 표준에 많이 반영될 수록 5G 기술 주도권을 확보하는 데 유리하기 때문이다.

황창규 KT 회장(오른쪽 첫 번째)이 지난해 7월 ‘5G 연구개발센터’ 개소식에서 센터 관계자의 설명을 듣고 있다.

지난달 22~25일(현지시각) 스페인 바르셀로나에서 열린 세계 최대 모바일·통신 전시회 ‘모바일월드콩그레스(MWC) 2016’은 각국의 5G 경쟁 상황을 고스란히 보여주는 무대였다. 전세계 주요 스마트폰 제조사와 이동통신사, 통신장비 제조업체들은 이번 MWC에서 앞다퉈 5G 관련 신기술을 공개했다.

5G 시대가 도래하면 급성장할 것으로 기대를 모으는 분야 중 하나가 가상현실(VR) 영역이다. VR 기기를 착용한 사용자가 현실과 구분을 할 수 없을 정도의 사실감을 느끼려면 무엇보다도 콘텐츠를 끊김없이 실시간 공유하는 네트워크 환경이 구축돼야 한다. 현재의 4G 기술로는 한계가 있다.

현대원 한국VR산업협회장(서강대 커뮤니케이션학부 교수)은 “4G 기술은 고화질(HD)급 동영상 콘텐츠의 소비를 보편화시켰다”면서 “5G 시대에 접어들면 VR 콘텐츠의 시대가 시작될 것”이라고 말했다.

한국 정부는 올해 340억원을 투자해 평창·강릉·정선·광화문 등에 5G 시범망을 구축할 계획이다. 최양희 미래창조과학부 장관은 “5G 기술을 강화해 홀로그램, VR, 증강현실 등 현장감과 몰입감을 극대화하는 초(超)실감형 서비스의 시범 사업에도 착수하겠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