척추관 협착증 역시 대표적인 퇴행성 척추질환 중 하나이다. 그러나 젊다고 방심할 수는 없는 질환이다.

척추관 협착증이란 우리 몸에 신경이 지나가는 척추관이 노화로 인해 좁아지면서 신경들이 눌려 생기는 질환이다. 디스크는 지속적인 하지 통증을 호소하지만, 척추관 협착증은 서 있거나 걸을 때 즉 척추를 펴고 있을 때 통증이 유발된다.

또 척추관 자체가 좁아져 신경 다발을 전체적으로 누르는 것이기 때문에 엉덩이와 다리 전체에 증상이 나타나고 걸을 때 다리에 힘이 풀리는 것 같은 증상이 나타난다. 그 때문에 중증의 척추관협착증 환자들은 걷고 싶어도 다리에 힘이 풀려 오래 걸을 수 없게 되고 자신도 모르게 주저앉아 쉬게 된다고 호소한다.

다른 척추질환과 마찬가지로 척추관협착증 역시 증상이 심하지 않을 때는 수술보다는 비수술적 치료가 우선된다. 척추관협착증은 운동이 가장 좋은 초기치료법이라는 것이 전문의들의 공통된 의견이다. 그러나 협착이 진행되어 통증과 마비 증상이 심해진 경우에는 수술만이 해답이 된다.
척추관협착증 수술의 종류와 방법 선택에서 가장 중요한 것은 역시 수술 후 환자가 얼마나 정상적인 생활을 이어나갈 수 있느냐가 우선된다.

세란병원 척추센터 박홍준 과장은 “최근에는 60대 이후에도 활발한 사회 활동을 하는 만큼 노인성 척추질환 치료의 패러다임 역시 이들이 수술 후 통증이나 후유증 없이 정상적인 생활을 유지 할 수 있는 것에 초점을 맞춰야 한다”고 강조한다.

이런 추세에 따라 세란병원 척추센터에서는 척추관협착증 환자들에게 크게 두 가지 수술을 시행하고 있다. 우선은 최소절개로 비교적 간단히 인대나 뼈를 제거해 압박을 풀어주는 미세현미경 신경 감압술이다. 이는 특히 80세 이상 고령 환자들에게도 시행이 가능한 안전한 수술법으로 통한다.

다른 하나는 미세현미경신경감압술 후 경피적 척추 유합술이다. 척추뼈를 고정해 주기 위한 기존 척추유합술은 등 부분을 15cm 정도 절개해 근육이나 신경조직에도 손상을 입어 근육 통증 같은 후유증이 남을 수밖에 없었다. 반면에 최신 척추유합술은 척추뼈 고정 부위를 5cm 미만으로 절개하고 수술용 미세현미경을 통해 수술하는 방법이다.

이 두 수술법의 큰 특징은 최소절개로 이루어진다는 점. 따라서 근육 손상이 줄어들어 후유증이 남지 않고 노약자들도 안전하게 수술할 수 있다. 또 회복기간 역시 짧고 수술 후 집안일이나 운동 등 일상생활에 무리가 없도록 맞춰진 진보된 척추 수술법이라 할 수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