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내 1·2위 포털인 네이버와 다음카카오가 자사의 사이트에 실리는 모든 언론사 기사(記事)에 대해 정부·기업 등 이해 당사자가 직접 해명이나 반박성 댓글을 게재할 수 있는 서비스를 준비하고 있다. 사이비 언론이 광고나 협찬을 얻어내려는 목적으로 엉터리 비판 기사를 쓰거나 네티즌의 관심을 끌기 위해 유명인에 대한 선정적인 기사를 포털에 올려 당사자의 명예를 훼손하는 일 등을 막기 위한 조치다. 양사는 이와 함께 사이비 언론을 포털의 뉴스 검색에서 제외하는 방안도 추진 중이다.

네이버와 다음카카오는 지난 11일 서울 세종로 정부서울청사에서 청와대 홍보수석실 주재로 열린 '정부부처 온라인대변인 정례회의'에서 뉴스서비스 개편 방안을 발표했다. 포털은 이날 언론사의 주(主) 취재원이 되는 정부 부처와 기업의 반론·해명권 보장을 위해 뉴스 화면에 별도의 공식 댓글난을 신설하는 방안을 설명했다. 예컨대 정부의 경제 정책을 비판하는 기사에 대해 기획재정부가 같은 화면에서 직접 반박하는 댓글을 붙이는 방식이다. 이를 위해 각 부처·기업에는 공식 댓글용 아이디(ID)를 별도로 부여할 예정이다. 언론사는 같은 화면에 재(再)반박하는 글을 올릴 수 있다. 네티즌이 해당 기사를 블로그나 SNS(소셜네트워킹서비스) 등으로 퍼나를 경우 공식 댓글도 기사와 한 묶음으로 옮겨다니게 돼 있다.

정부 부처 관계자는 "대기업의 입장을 대변하는 광고주협회에서 작년부터 포털에 이런 방식을 요구한 것으로 안다"고 말했다. 청와대 민병호 뉴미디어비서관도 "44개 정부 부처 입장에선 괜찮은 방식으로 보이며, 인터넷 시대의 새로운 소통 방식의 변화"라고 말했다.

언론 자유를 침해하는 것 아니냐는 논란도 있다. 한규섭 서울대 교수(언론정보학부)는 "비판 기사에 대해 정부·기업이 공식 댓글로 여론몰이를 하면 언론사가 제대로 대응하기 어려워질 것"이라고 말했다. 이해 당사자의 정제되지 않은 주장을 담은 반론권은 언론의 감시 기능을 훼손할 수도 있다는 뜻이다.

네이버의 유봉석 미디어플랫폼센터장(이사)은 "언론 자유 침해에 대한 논란이 있어 실제 서비스를 도입할지, 하더라도 언제쯤 시작할지에 대해선 더 고민 중"이라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