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금융사의 선순위 비상장 주식, 메짜닌 증권 투자 위험 가중치 완화 필요”

임종룡 금융위원장은 17일 서울 프레스센터에서 벤처캐피탈(VC), 사모투자펀드(PE), 성장사다리펀드 운용사 등과 ‘금요회(금요일 아침에 열리는 조찬모임)’을 갖고 모험 자본 활성화를 위한 대책을 마련하겠다고 강조했다.

임 위원장은 “그동안 비상장기업 지원은 보증에 기반한 융자중심 모델이었지만 근본적인 패러다임 변화가 필요한 시점으로 VC·PE 등의 투자를 통한 비상장기업의 성장 생태계 지원이 앞으로 금융의 핵심 역할이자 모험자본의 중심 기능을 한다”고 말했다. 또 “VC·PE가 우리 금융시장에서 차지하는 비중은 작지만 은행 중심의 전통금융이 접근하지 못하는 창업기업과 기술기업, 구조조정기업 등에 직접 투자하며 리스크와 성장과실을 공유하는 구조로 청년이 꿈을 실현하는 자본시장을 위해 중요한 역할을 한다”고 모험자본의 중요성을 재차 강조했다.

이날 조찬회에서 PEF 측 관계자들은 "금융회사들이 벤처조합·PEF 등 비상장회사에 출자했을 때 NCR, RBC 등 건전성 기준 평가가 지나치게 보수적"이라며 "금융회사의 선순위 비상장 주식, 메짜닌증권 투자에 대해서는 위험 가중치 완화를 적극 고려할 필요가 있다"고 제안했다.

또 은행의 혁신성 평가에 벤처투자조합 등 모험자본에 대한 출자 항목에 대한 배점을 상향 조정해줄 것을 건의하는 한편, 성장사다리펀드에서 민간 자본 참여를 위한 보다 적극적인 유인책이 필요하다고 말했다.

이에 대해 임 위원장은 “지속적으로 시장과 소통해 모험자본 활성화를 위한 대책을 마련하고 적시성 있게 추진하겠다”며 “간담회에서 건의된 사항들을 면밀히 검토해 향후 마련될 모험자본 활성화 방안에 포함하겠다”고 말했다.

이날 금요회는 DSC인베스트먼트, 지앤텍벤처투자, 프리미어파트너스, 아주IB투자, JKL파트너스, IMM인베스트먼트, 에버베스트파트너스, 성장사다리펀드 등의 실무진이 참석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