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남기업이 잇따른 악재로 곤혹스러운 상황에 부닥쳤다. 최근 자산매각에 난항을 겪으면서 자본이 잠식된 데 이어, 자원외교 비리에 연루돼 검찰의 압수수색까지 받은 것이다.

서울중앙지방검찰청 특수1부(부장 임관혁)는 18일 자원개발과 관련한 비리 의혹을 받는 경남기업 본사에 대한 압수수색을 진행했다.

검찰은 한국광물자원공사가 경남기업의 마다가스카르 암바토비 사업 지분을 비싼 값에 사들여 100억원 이상의 손실을 보았다고 의심을 하고 있다.

광물공사는 2006년 10월 경남기업 등 국내 기업 7곳과 암바토비 니켈 광산에 약 1조9000억원을 투자했는데, 경남기업이 투자금을 마련하지 못하자 제값을 다 주고 이 지분을 인수했다. 당시 계약조건은 투자금을 미납하면 투자금의 25%만 받고 지분을 반납하는 것이었다. 검찰은 이 과정에서 경남기업과 광물공사 간의 부당한 거래가 있었는지 보고 있다.

현재 경남기업은 자금난도 겪고 있어 이번 압수수색의 여파가 더 클 것으로 보인다. 경남기업은 이달 11일 두 번째 워크아웃(기업개선작업)을 진행하다 자본이 잠식됐다. 자회사와 해외 빌딩 등 자산을 매각하지 못하면서 자금 마련에 어려움을 겪은 것이다.

경남기업의 사정이 악화하기 시작한 건 2009년이다. 자금난을 겪으며 워크아웃에 들어갔다가 2011년 5월 졸업했다. 하지만 해외 사업이 계속 어려움을 겪으며 유동성 위기는 이어졌다. 특히 박근혜 대통령이 베트남 국빈 방문 때 한복쇼를 해 유명해진 베트남 ‘랜드마크72’ 개발 사업과 관련해 프로젝트파이낸싱(PF) 자금 5300억원을 상환하는데 어려움을 겪다 2013년 두 번째 워크아웃을 신청했다.

경남기업은 지난해부터 랜드마크72와 자회사 수완에너지플랜트를 매각해 자금을 확보하려고 했다. 하지만 이마저 어려움을 겪으면서 결국 자본잠식이 발생하게 됐다.

경남기업 관계자는 “2012년 5월에 암바토비 사업과 관련한 감사원 보고가 있었고, 당시 회사 관련 사항을 모두 소명했다”며 “회사 사정이 어렵지만, 현재 검찰에서 압수수색이 진행되고 있는 만큼 조사에 성실하게 임하겠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