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 10년간 우리나라의 글로벌 기업 수가 정체 상태인 것으로 나타났다. 반면 같은 기간 중국, 인도, 브라질, 러시아(BRICs) 등 주요 경쟁국들의 글로벌 기업 수는 큰 폭으로 늘어난 것으로 조사됐다.

전국경제인연합회가 조사해 24일 발표한 자료에 따르면 주요 3개 글로벌 기업 순위(포춘 글로벌500, 파이낸셜타임스 글로벌500, 포브스 글로벌2000)에 포함되는 한국 기업의 수는 지난 10년간 미미하게 증가했다. 포춘 글로벌500은 매출액 기준, 파이낸셜타임스 글로벌500은 시가총액 기준으로 글로벌 기업을 선정하며, 포브스 글로벌2000은 매출액·이익·자산·시가총액 등을 합산해 자체적으로 평가하고 있다.

지난해 주요 국가의 글로벌 기업수.

포춘글로벌 500대 기업에 포함되는 우리 기업은 2004년부터 지난해까지 11개에서 14개로 3개 증가한 반면 중국은 15개에서 89개로 74개, 인도는 4개에서 8개로 4개, 브라질은 3개에서 8개로 5개, 러시아는 3개에서 7개로 4개 늘어났다.

시가총액을 기준으로 하는 파이낸셜타임스 글로벌500대 기업의 경우에도 중국은 37개(8개→45개), 인도는 10개(2개→12개), 브라질은 8개(2개→10개) 증가했지만, 우리 기업은 2개 증가(3개→5개)하는데 그쳤다.

포브스 글로벌2000대 기업 순위에서도 우리나라는 지난 10년간 15개가 늘어났으나, 중국 등 경쟁국들의 기업이 더 많이 증가했다.

주요 국가별 글로벌 기업 수를 살펴봐도 한국은 기존 선진국 그룹(G5·미국, 영국, 프랑스, 독일, 일본)과 상당한 격차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전경련은 “새롭게 순위에 진입할 수 있는 기업 후보군도 적어 당분간 G5 수준의 상위권 국가로 도약하기는 어려울 것으로 보인다”고 봤다.

전경련 추광호 기업정책팀장은 “우리나라 안에서 대기업으로 불리는 기업들도 세계 무대에 서면 왜소한 경우가 많다”며 “글로벌 순위에 포함된 우리 기업들조차 일부를 제외하고는 중간 이하 순위에 머물러 있어, 업종별 글로벌 1위 업체와 비교하면 규모가 작다”고 지적했다. 이어 “지금과 같은 글로벌 경제전쟁 시대에는 보다 많은 우리나라 기업들이 더욱 성장해 세계를 상대로 경쟁할 수 있도록 분위기를 적극적으로 북돋아 주어야 한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