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료:식약처 제공

방사선 피폭량을 늘리는 주범은 컴퓨터단층촬영(CT)인 것으로 드러났다. CT는 국민 1인당 연간 방사선 피폭량의 절반 이상을 차지해 안전관리가 시급한 것으로 나타났다.

우리나라 국민의 연간 방사선 피폭량은 평균 1.4mSv(밀리시버트)이지만, 복부CT를 1회 촬영하면 7배가 넘는 10mSv에 노출되는 셈이다. 방사선에 지나치게 노출되면 세포와 조직이 변형을 일으켜 암 등을 유발할 수 있다.

22일 식품의약품안전처에 따르면, 국민 1인당 연간 진단용 방사선 피폭량은 2007년 0.93mSv에서 2011년 1.4mSv로 5년간 약 51% 증가했다. 방사선 검사 건수도 2007년 1인당 3.3회에서 2011년 4.6회로 늘었다.

이 같은 증가는 건강에 대한 관심으로 정기 검진이 늘고, 영상을 통한 과학적 진단이 보편화 됐기 때문으로 분석된다. 또한 병원이 수익을 위해 불필요한 검사도 진행했다는 지적도 있다.

2011년을 기준으로, 국민의 방사선 검사 건수는 총 2억2000만건이었다. 이 가운데 엑스선(X-ray)이 1억7000만건으로 78%를 차지했고, 치과촬영이 2400만건(11%), 유방촬영이 1600만건(7%)로 뒤를 이었다.

CT촬영은 전체 방사선 검사 건수의 2.8%인 600만건에 불과했지만 피폭량면에서는 가장 높았다. 국민 1인당 연간 피폭량 1.4mSv 가운데 CT촬영은 0.79mSv로 56%를 차지했다.

김형수 식품의약품안전평가원 방사선안전과장은 “CT촬영은 찍는 부위와 기기에 따라 방사선 피폭량이 다른데, 복부CT가 약 10mSv로 가장 많다”고 말했다. 흉부CT는 약 8mSv, 두부CT는 2mSv 수준이다.

국제방사선방호위원회(ICRP)는 일반인이 자연상태에서 받는 방사선 피폭량의 연간 상한기준을 1mSv로 정해놓고 있다. 인체가 100mSv 이상의 방사선에 피폭되면 암 위험률이 약 5.5% 높아진다고 알려져 있다.

그러나 의료를 목적으로 한 방사선 피폭량에는 별다른 기준치가 없다. 방사선 노출로 인한 피해보다 당장 치료가 우선이기 때문이다. 김 과장은 “5년간 100mSv에 노출되지 않으면 특별한 문제는 없지만 최소화 하려는 노력이 필요하다”고 말했다.

앞서 이언주 국회 보건복지위원회 소속 민주당 의원은 “식약처가 의료 장비로 인한 환자의 방사선 피폭량을 줄이기 위해 2007년부터 기준치를 마련하고 병원에 권고했지만 지켜지지 않고 있다”고 지적했다.

이에 식약처는 이번 방사선 피폭량 분석 결과를 토대로 다음달부터 CT촬영의 방사선 피폭량을 집중 관리할 계획이다. 또한 환자가 어느 병원에서 촬영하든 누적 방사선 피폭량을 알 수 있도록 관련 법을 제정하기로 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