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료:현대경제연구원

최근 3년 동안 소득이 낮은 1분위(소득 하위 20%) 가계 순자산(누적)은 1500만원 가까이 감소한 반면 5분위(소득 상위 20%) 가계 순자산은 7000만원 넘게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가계 간 부(富)의 양극화가 심화된 셈이다.

현대경제연구원은 19일 '가계 재무상태 변화의 특징과 시사점' 보고서에서 "최근 3년(2010년 2월~2013년 3월) 사회 부분별 순자산 증감 추이를 분석한 결과, 1분위 가계 순자산은 1440만원 감소했지만 같은 기간 5분위 가계 순자산은 7450만원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고 밝혔다. 2분위와 3분위 가계 순자산은 각각 1002만원, 2543만원 증가했고 4분위 가계 순자산은 3312만원 늘었다. 소득이 높을수록 자산 증가폭이 컸다.

가구주 연령과 성별, 직업, 지역간 차이도 극명했다. 가구주가 30세 미만 가계의 순자산은 지난 3년 동안 121만원 증가하는데 그쳤지만, 가구주가 50~60대인 가계 순자산은 2717만원 증가했다. 30~40세 가구와 40~50세 가구의 순자산은 각각 1547만원, 1571만원 늘었다. 가구주가 60세 이상 고령층인 가계의 순자산은 1377만원 늘어나는데 그쳤다.

가구주가 남자인 가계 순자산은 3064만원 늘어난 반면 여자 가계는 459만원 증가했다. 상용임금근로자 가계의 순자산은 2957만원 증가했고, 임시일용근로자 가계는 1449만원 늘었다. 지역별로는 수도권 가계 순자산이 560만원 증가하는 사이 비수도권 가계 순자산은 4247만원 늘었다. 최근 수도권 부동산 가격은 하락하고 비수도권 부동산 가격은 반등하는 추세가 가계 자산 증가에 반영된 것으로 분석됐다.

거주 형태별로는 자가주택과 전세입자의 경우 자산을 많이 불릴 수 있었지만 월세입자는 어려운 모습이었다. 자기집에 사는 가계의 자산은 4685만원 증가했고, 전세입자 자산도 3939만원 늘었다. 하지만 월세 등 기타 가계의 경우 자산 380만원을 늘리는 데 그쳤다.

현대경제연구원은 "가계 자산 증가율이 낮아지는 것보다 더 큰 문제는 취약계층일수록 자산을 늘리기 어렵다는 것"이라며 "취약계층이 저축을 통해 자산을 형성해 가난을 벗어날 수 있도록 다양한 자산형성 지원제도가 마련돼야 한다"고 말했다. 개인개발계좌(저소득층 가구가 일정 금액을 저축하면 동일한 금액을 정부나 민간후원기금이 매칭 지원하는 것) 등 저소득계층 맞춤형 금융상품을 개발해 보급하는 게 바람직하다고 덧붙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