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기침체가 장기화 되면서 사람들은 소득이 늘어나는데도 지갑을 열지 않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물가상승률이 1%대 이하일 정도로 낮은 수준이지만, 소비증가율이 물가상승률을 쫓아가지 못해 실질소비는 5분기 연속 마이너스다. 처분 가능한 소득 중 얼마만큼을 소비했는지 보여주는 평균 소비 성향은 10분기 연속 하락했다.

통계청이 22일 발표한 ‘2013년 3분기 가계동향’에 따르면 올해 3분기 가구당 월평균 소득은 2.9% 늘었는데 소비는 1.1% 증가에 그쳤다. 물가상승 효과를 제외한 실질 소비는 0.1% 감소해 5분기 연속 마이너스를 기록했다. 실질소득은 1.6% 증가했다.

월평균 소비지출은 249만4000원으로 지난해 3분기(246만7000원)보다 1.1%(2만7000원) 늘어나는 데 그쳤다.

소비 지출 12대 품목을 보면 가정용품·가사서비스(10만4000원)는 긴 여름 덕분에 제습기 수요가 증가하면서 6.5% 늘었다. 주거·수도·광열 지출(22만5000원)도 6.4% 증가했다. 월세가구가 늘어 실제거주비(6만1000원)가 12.1% 급증했기 때문이다. 음식·숙박 지출(33만7000원)과 교통(30만8000원)도 각각 4.6%, 3.4% 늘었다.

반면 영유아 보육료 지원으로 기타상품·서비스(19만4000원)는 전년 동기 대비 7.4% 줄었고, 농산품 가격 하락과 생선에 대한 소비 감소로 식료품·비주류음료(37만3000원)도 2.5% 감소했다. 박경애 통계청 복지통계과장은 “정부의 유치원비나 영유아보육료 등 정부 복지 정책으로 기타상품 서비스와 교육 지출이 감소했다”며 “이를 감안하면 소비지출은 실제로 1.85% 증가했다”고 설명했다.

이처럼 소비지출이 늘어났지만 소비자물가 상승률을 감안한 실질 소비는 지난해 3분기보다 0.1% 감소했다. 물가가 오르면서 자동으로 지출이 늘어나는 것을 감안하면, 실제 소비는 줄었다는 의미다. 실질소비는 전년 동기 대비로 지난해 3분기부터 5분기 연속 마이너스를 기록하고 있다.

또 처분 가능한 소득 중 얼마만큼 소비했는지를 보여주는 평균 소비 성향은 72.2%로 전년 동기 대비 1.4%포인트 감소했다. 평균 소비 성향은 전년 동기 대비로 2011년 2분기부터 10분기 연속 하락하고 있다.

세금이나 연금, 보험, 이자비용 등으로 나가는 비소비지출은 80만8000원으로 지난해 3분기(79만2000원)보다 2%(1만6000원) 증가했다. 소득세와 자동차세 등 경상조세가 16만7000원으로 5.5% 늘었고, 연금(11만7000원)과 사회보험(11만5000원)에 쓰는 돈도 각각 4.1%, 5.1% 늘었다. 반면 이자비용(9만3000원)은 기준금리 인하의 영향으로 지난해 3분기보다 3.9% 감소했다.

가구당 월평균 소득은 426만원으로 지난해 3분기(414만2000원)보다 2.9%(11만8000원) 늘었다. 가계 소득에서 가장 큰 부분을 차지하는 근로소득(286만7000원)은 전년 동기 대비(277만5000원) 3.3% 늘어난 영향이 컸다. 그러나 물가상승률을 감안한 실질소득은 1.6% 증가하는 데 그쳤다.

소득에서 비소비지출을 제외한 처분가능소득은 345만2000원으로 전년 동기(335만원) 대비 3.1% 늘어났다. 또 처분가능소득에서 비소비지출을 제외한 흑자액은 95만9000원으로 전년 동기(88만3000원) 대비 8.6%(7만6000원) 증가했다. 처분가능소득에서 흑자액이 차지하는 비율인 흑자율은 27.8%로 전년 동기(26.4%) 대비 1.4%포인트 증가했다.

분위별로 살펴보면 소득은 모든 분위에서 증가했고 특히 4분위의 소득 증가율이 3.9%로 가장 높았다. 또 소비지출은 3분위를 제외한 모든 분위에서 증가했고, 처분가능소득은 지난해와 동일한 1분위를 제외하면 모든 분위에서 증가했다.

오상우 기획재정부 경쟁력전략과장은 “3분기 경제성장률이 전분기 대비 1%대 성장을 달성하면서 중산층을 중심으로 가계소득도 완만한 회복세를 지속하고 있으나 소비지출은 아직 가계소득 증가에 미치지 못하고 있다”며 “경제 활성화 및 일자리 창출을 통해 경기 회복세를 이어나가 서민·중산층의 가계소득과 소비심리를 지속 개선할 필요가 있다”고 평가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