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 3년간 원전과 화력발전소의 잇따른 고장으로 인해 대체 전력을 구매하는 데만 5조7000억원의 비용이 들었다는 주장이 나왔다.

국회 산업통상자원위원회 소속 전하진 위원(새누리당)은 한국전력공사로부터 받은 '기저발전 고장정지에 따른 전력구입비' 자료를 분석한 결과 지난 3년간 원전과 화력발전소 등 기저발전기의 고장 정지일수는 1509일이었고, 이로 인해 총 5조7203억원의 대체 전력 구입비를 썼다고 22일 밝혔다.

특히 2011년과 비교해 지난해 기저발전기 정지일수와 전력 대체 추가비용이 크게 늘어난 것으로 나타났다. 2011년에는 정지일수가 44일, 전력대체 추가비용이 1598억원이었지만, 지난해에는 각각 766일, 2조8856억원으로 크게 늘었다. 원전 미검증 부품 사용과 정전 보고 누락에 따른 정밀조사, 화재 사고 탓이다.

올해도 원전 3기(신고리 1, 2호기·신월성 1호기)의 시험성적서 위조로 원전 가동이 중단되면서 정지일수와 추가비용이 각각 699일과 2조6749억원으로 조사됐다. 전날 가동이 중단된 한빛원전 6호기를 제외한 수치라 향후 정지일수와 추가비용은 더 늘어날 것으로 예상된다.

기지발전기 전력대체 추가비용

전 의원은 "원전 가동 중단에 따른 전력난으로 5조 7000억이라는 천문학적인 대가를 치렀다"며 "원전 가동 중단으로 올 여름 최악의 전력 위기를 맞았는데, 올 겨울에도 같은 상황이 반복될 가능성이 크다"고 말했다.

그는 "전력위기 상황을 타개하기 위해서는 정부가 에너지 수요관리를 통해 전기 효율을 높여 피크 전력을 낮춘다는 전제 하에 다양한 정책을 찾아야 한다"고 말했다.